밀물의 시간
도종환 지음, 공광규 외 엮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접시꽃 당신>으로 나에게 그 이름을 알린 시인이다. 처음 이 시집이 베스트셀러가 되었을 때 단순히 사랑시를 쓰는 사람으로 착각했다. 영화로도 나왔던 그 시집은 나로 하여금 시인을 오해하기 딱 좋게 만들었다. 아마도 그 당시는 베스트셀러를 읽지만 배척하던 모순된 감정을 가졌던 시기였던 탓일 것이다, 그 후 전교조 문제 등으로 그를 알게 되고, 시집 <접시꽃 당신>을 제대로 읽으면서 이 오해는 조금 수정되었다. 그러다 얼마 전 RHK에서 나온 시화선집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로 그의 시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다.

 

이번 이 시선집은 그의 시집들에서 몇 편씩을 발췌해서 시집 발간 순으로 실었다. 읽으면서 초기작과 대박시집 사이의 차이를 다시 느끼게 되었고, 시간의 흐름 속에 시인의 변화도 조금은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시선집이 하나의 범주로 묶여 시풍이나 시어들의 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없는 것과 비교되는 편집이다. 그의 일상과 의지와 희망과 사랑 등이 곳곳에 녹아 있는데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고, 나아지지 않은 현실에 울분을 토했다. 애절한 사랑의 시를 읽을 때면 나도 저럴까 하는 의문이 생길 정도였다. 이전에 읽었지만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시는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고, 대부분 낯선 시들은 머리와 가슴 속으로 파고들었다.

 

그의 시는 현실을 담고 있다. 첫 시집 <고두미 마을에서>(1985년)부터 그렇다. 개인적으로 ‘흑인 혼혈아 여가수에게’의 대상이 누군지 궁금하고, ‘조센 데이신타이(조선정신대)’의 비극이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점점 묻혀가고 있다는 사실에 놀란다. <접시꽃 당신>(1986년)속 ‘어떤 연인들’의 사랑은 그 어떤 사랑보다 굳세어 보인다. 아내에 대한 사모곡이 지닌 애절함과 그리움을 넘어 지켜보는 따스한 시선은 아직 그의 마음속에 사랑이 살아있음을 알게 한다. 이것은 나중에 ‘사랑도 살아가는 일인데’로 이어진다. 이때는 이미 그가 재혼한 후이지만.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당한 후 그의 시들은 학교와 학생들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감옥에서 만난 제자와의 단상을 ‘잘가라, 준아’로 풀어냈을 때 이 시대 수많은 학생들의 삶이 겹쳐졌다. “우리가 빼앗긴 세월을 반드시 돌려받을 수 있음을 믿습니다”(정 선생님, 그리고 보고 싶은 여러 선생님께)의 희망은 “내일도 우리는 어두운 골목길을/지친 걸음으로 혼자 돌아올 것이다”(귀가)로 이어진다. 이것은 다시 “어떤 투쟁이든 값진 것은 과정일 뿐”(쏭바)이라고 말하며 현실 속에서 그 희망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인정하고 그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60대가 되면서 세상을 보는 시선이 좀더 부드러워졌고, 다양해졌음을 느낀다.

 

시인이기 이전에 그는 교사였다. 이제는 정치인으로 변했지만 그의 시 대부분은 교사였을 때 쓴 시들이다. 어릴 때부터 교사가 꿈이었던 그가 전교조 문제로 해직되었을 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그 감정을 시로 풀어내었을 때 한결같이 그의 관심은 학생들이고 교육문제다. 전교조라는 이유로 감옥에 갇히고, 닭장차에 실려갔고, 어느 날은 한 가족의 가장이자 자신을 감옥에 보낸 사람을 만나기도 한다. 이때의 감정들을 시로 정제해서 풀어낼 때 그의 고뇌와 아픔과 갈등 등이 나의 가슴 한 곳으로 콕하고 와 박힌다. 그리고 ‘부드러운 직선’에서 사람들이 부드러워지라고 할 때 그것을 받치는 기둥이 직선임을 말한다. 그의 삶에 대한 통찰이 돋보이는 시다. 상대적으로 어렵게 쓴 시들이 아니라 빠르게 읽을 수 있었다. 사놓고 묵혀둔 다른 시집들에도 손을 한 번 내밀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