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포스 1
돈 윈슬로 지음, 박산호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좋은 경찰이 되고 싶었던 데니 멀론의 몰락기다. 멀론은 뉴욕 맨해튼 북부 특수 수사팀의 책임자이자 자타가 공인하는 맨해튼 북부 지역의 왕이었다. 물론 왕이라고 해서 나쁜 짓을 저질러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는 현재 기준으로 본다면 부패 경찰이다. 마피아에게 뒷돈을 받고, 마약상의 돈과 마약을 훔친다. 당연히 이 돈들을 혼자 꿀꺽 삼키지 않는다. 동료들과 나누고, 일부는 위로 상납한다. 이런 일들은 이 소설 속에서 일상처럼 벌어진다. 부패와의 전쟁으로 깨끗해졌다고 생각했던 뉴욕 경찰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여전히 뇌물은 받는다. 물론 받지 않는 경찰들이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뇌물을 주려는 사람들이 있고, 그 돈이 필요한 경찰이 있는 한 이것은 영원히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다 포스는 뉴욕 특별수사대다. 이 수사대는 여러 지역을 나누어 관리한다. 그 중에서도 최고는 멀론이다. 이 수사대가 만들어진 것은 그의 아이디어 덕분이다. 작가는 이 사실을 알려주기 전에 뉴욕 경찰의 부패를 다룬 간략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우리가 영화로 본 부패 경찰 이야기도 같이. 이런 노력은 경찰들에게 커피 한 잔, 샌드위치 하나도 뇌물로 여기게 만든다. 작은 불씨가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으려는 시도다. 깨끗한 공무원을 바라는 것은 시민들이라면 누구나 바라는 바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 멀론과 그 동료들에 괜히 감정 이입하면서 그들의 부패를 용인하려는 마음이 생긴다.

 

수많은 경찰 영화에서 최악은 언제나 밀고자다. 내사과를 다룬 영화 속에서 유능한 부패 경찰이 강하게 내뱉는 말들에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도 그의 부패에 더 초점을 맞춘다. 그가 왜 나쁜지 공감한다. 그런데 이 소설을 읽으면서는 그의 부패와 나쁨보다 다른 것들이 더 먼저 눈에 들어왔다. 그를 밀고자로 만들어 부패를 소탕하려는 조직과 검사들의 배후와 목적 덕분이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경찰의 현실 때문이다. 가장 위험한 곳에 가장 먼저 달려가고, 결코 많지 않은 급여를 받으면서 그들은 최선의 노력을 한다. 물론 그들에게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강한 인종차별주의자들이고, 때로는 이 때문에 무고한 흑인을 죽이기도 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는 인종차별에 깜짝 놀랐다고 하면 내가 너무 순진했던 것일까?

 

멀론의 아버지도 경찰이었다. 동생은 소방관이었다. 하지만 9.11 테러에 동생은 순직했다. 이제 십 수 년이 지나 우리에게 희미해진 이 사건이 아직도 뉴욕 등에서는 현재진행형이다. 멀론도 가끔 이 악몽을 꾼다. 쌍둥이 빌딩이 서 있던 곳을 지나면 텅 빈 그 공간에 아픔을 느낀다. 이런 일반적인 경찰인 그가 자신의 구역으로 넘어가면 왕과 다름없다. 마피아와 거래를 하고, 마약상들을 관리한다. 마약상들끼리 살인 사건이 발생하면 경찰이 시장의 총알받이가 된다. 이런 시장들은 경찰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 하지만 뉴욕에는 경찰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소수 민족의 표가 어떨 때는 더 중요하다. 이것도 하나의 중요한 설정이다.

 

멀론 팀은 가족보다 더 끈끈한 관계다. 대부와 대자의 관계로 엮여 있고, 누군가 사고 나면 다른 사람들이 그 가족을 돌본다. 상납과 갈취로 얻는 돈은 똑같이 나누고, 일정 부분은 비자금으로 사용한다. 내사과를 비롯해 조직 곳곳에 그들의 돈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언제나 사건은 작은 실수에서 비롯한다. 이 실수가 먼저 그를 삼키고, 주변 사람들을 하나씩 삼켜간다. 이럴 때 경찰들이 보여주는 반응 중 하나는 자살이다. 그럼 더 이상 수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 멀론에게도 그런 기회가 있었다. 그러나 그는 사랑하고 돌봐야 하는 사람들이 먼저였다. 경찰을 파는 밀고자는 결코 되지 않겠다는 선을 그으면서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놓인다.

 

부패 경찰 멀론은 말한다. “난 경찰을 사랑했어. 정말 사랑했지. 난 이 빌어먹을 도시도 사랑했어. 하지만 이젠 틀렸어. 당신들이 다 말아먹은 거야.” 앞에서 말한 것은 사실이다. 뒤에서 말한 것도 사실이다. 경찰로써 멀론은 지켜야 할 선을 나름대로 지켰다. 노약자와 여성들과 아이들을 특히 보호하려고 했다. 갱들의 전쟁에 가족들을 배제하려고 했다. 하지만 전쟁에 아이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잔혹만이 위력을 발휘한다. 멀론의 영혼 일부를 잃어버린 것도 바로 이 순간들 때문이다. 당연한 듯한 일들이 반복되고 지속되면서, 자신의 힘에 도취되면서 그 틈은 벌어진다. 그 좁은 틈은 이제 그와 관련된 모두를 삼켜버릴 만큼 거대해진다. 영웅이라고 불렸던 인물은 거대한 물결에 휩쓸려 자신의 삶을 잃어간다.

 

한 영웅의 몰락만 다루었다면 그냥 보통의 경찰 부패를 다룬 소설로 그쳤을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경찰의 현실을 보여주고, 뒤에서 이들을 이용해 정치하는 인물들과 이들보다 더 큰 부패의 원흉을 알려준다. 시장이 부패 경찰을 척결한다고 할 때 자신을 빼놓고, 대기업 총수가 엄청난 횡령을 하지만 직원들의 사소한 횡령을 용납하지 못하는 것처럼. 멀론을 앞으로 부각시켜 거대한 부패의 고리를 엮고 풀어가는 과정은 그에게 감정이입할수록 아프다. 괴롭다. 그가 원하는 거라곤 좋은 경찰이 되는 것뿐이었는데, 그 사실을 알고 있기에, 하지만 그 정도가 심했기에, 그 선을 넘었기에 나는 이 사이에 혼란을 느낀다. 지금은 이성보다 감정이 더 앞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