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guide for Economics of Strategy by Al., Besanko Et, ISBN 9780471212133 (Paperback)
Besanko, David / Academic Internet Pub Inc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학위과정에서 읽었던 조직론 교과서의 하나로 내가 봤던 것은 2판이다. 지금도 사무실 책상에 놓고 참고할 때가 많다. 경영학도를 위한 조직론+전략 교과서라 생각하면 된다. 경영학 교과서치고는 그리 두껍지 않지만 경영학 교과서 답게 많은 케이스들로 설명이 되어 있어 쉽게 읽힌다. 경제학적인 수리모델도 박스로 처리되어 있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썼던 리뷰이다 

This is a textbook for MBA classes both on business strategy and on business economics which focuses on the economics of industry and firm. Textbook is suppos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vocabulary of each discipline, not to specific or uncommon theory. So it¡¯s far from singular or creative. Nevertheless, to be a good textbook, at least in social sciences, it should meet two criteria:
1. it should relate concepts to empirical cases. Social sciences are the empirical sciences. So their concepts are also empirical. But when I took economics courses, textbooks led me to think ¡®economics is no more than a math exercise.¡¯ When deriving and calculating ISLM model, for example, you could not disagree with me. And worse, such a knowledge could be neither applicable nor realistc, and could not endure against student¡¯s amnesia. In this regard, this book is worth recommending. It¡¯s full of cases from real business world and always attempts to explain concepts in the real world meaning.
2. A good textbook should have a consistent framework which integrate various concepts introduced in the book into a coherent and meaningful whole. This book, from start to end, raises the question, ¡®What is the business strategy?¡¯ the business strategy is about how to attain competitive advantage, put another way, how to strategically position one¡¯s firm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Competition increase the supply of output in the market, and drive down price, therefore, profitability. The firm is the organization to earn profit. Them the strategy of firm is how to earn higher profit than competitors¡¯. When a firm earns a higher profit rate than the average rate of competitors , the firm has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 firm¡¯s profitability within a market depends both on market-led economics and firm¡¯s capabilities. Part I and II of this book is about what constitutes and affect firms¡¯s market and industry or firm¡¯s environment. Part III is about how to achieve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or about firm¡¯s strategic positioning. In a nutshell, a firm has the ultimate objective to earn higher profit rate. To achieve that goal depends both on firm¡¯s environment and on firm¡¯s own capabilities. Strategy is firm¡¯s interaction with its environm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대세계체제 1 -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근대세계체제 3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나종일 외 옮김 / 까치 / 199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월러스타인은 참으로 신기한 글쓰기 재주를 가졌다. 그의 이론은 아주 간단하게 요약된다. 그러나 그 주장은 글의 논리전개와는 무관하게 명료하다. 무슨말인가? 그가 참고하고 있는 논거는 거의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Europe에서 발췌한 인용이다. 이 50년대에 발간이 시작된 이 시리즈는 대단한 권위를 가지고 있고 캠브리지에서 나온 역사 시리즈(Cambridge Histories)들 처럼 읽기에 어렵지도 않다. 그러나 월러스타인의 글쓰기는 참으로 요령부득이다. 인용을 아주 장문으로 집어넣고 자신의 주장은 그 인용에 대한 부연설명처럼 따라붙는다. 다시 말하자면 인용문을 제대로 소화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경제사에 대한 자신의 연구가 없이 그냥 브로델의 이론을 남의 글을 근거로 재생산하다보니 읽고 나서 아무 내용도 기억이 나지 않는 신기한 글을 쓰게 된 것이다. 차라리 월러스타인 이론의 근거가 되고 있는 브로델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를 읽는 것이 휠씬 생산적이고 얻는 것이 많다. 이론 자체도 브로델이 휠씬 구체적이고 생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기제국에 있어서의 교역과 시장 - 대우학술총서 번역 70
칼 폴라니 지음 / 민음사 / 1994년 6월
평점 :
절판


폴라니의 거대한 변환을 읽은 사람이면 일독을 권할만 하다. 거대한 변환이 지금의 자본주의의 초기역사를 근거로 시장과 사회의 이분법을 제시하면서 주류경제학의 자유시장론을 공격했다면 이책은 경제학에서 말하는 시장은 인류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의 발명이란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공격을 심화한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문명에서 무역은 있었지만 시장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서 정치가 먼저 있었고 시장은 그후에 만들어진것이란 것을 보여주면서 시장은 자연적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썼던 리뷰이다. 

 This was edited by Karl Polanyi not Arensberg Polanyi. The book info on this site is not correct.
Anyway, Since the neoliberalism seizes the time, Polanyi revives from the sea of oblivion. His masterpiece, ¡®The Great Transformation¡¯ is, in essence, a critic of liberalism which was the Zeitgeist of the 19th century, as I mentioned in a review of the book. Not surprisingly he was mobilized as a weapon to attack neoliberalism which could develop into the Zeitgeist of globalization. Polanyi questioned the very nature of the market, and concluded it¡¯s not the law of nature. This book is the endeavor to provide the evidence to his proposition. He argues that trade was not practice through market in early empires before Aristotle¡¯s Greece, at least in the West and Middle East, Maya, and so forth. At that time, resources were allocated through not the market but the system of reciprocity and redistribution. Early Egypt and other early empires were the system of power to allocate resources on the principles of reciprocity and redistribution. In this vein, the politics was also the economics. The trade was not the business of merchant but the business of the state: it was between states. Trade happened when some state couldn¡¯t defeat other state with military forces. The point coincides with recent mainstream theories of the state like Tilly¡¯s or Giddens¡¯: at the root of the state lies not the contract among equal individuals as Rousseau maintained but the violence that seeks the rents like trophy. This poin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before capitalist market emerged, most traded items were, in its nature, the luxury consumed by ruling class. The market merged around the time of Aristotle. So, Polanyi argues, it¡¯s no wonder and reasonable that Aristotle didn¡¯t understand the system of market and saw it as the evil thing to social ord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대한 변환 대우학술총서 구간 - 문학/인문(번역) 47
칼 폴라니 지음 / 민음사 / 1997년 5월
평점 :
절판


학위과정에서 본 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역사서이다. 영어원서로 읽는데도 평이하게 읽혔었다. 자본주의가 꽃핀 영국의 사회경제사를 기술하면서 시장과 사회는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류경제학에서 말하듯이 시장을 자유롭게 내버려두면 경제적 효율성만 추구하다 그 시장을 지탱하는 사회가 무너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화두가 되면서 그 반대논리의 원천이 되었던 서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채시장의 여인들 1
손채주 지음 / 학영사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이책은 소설이라기보다 보고서로 읽는 것이 좋다. 사채시장과 같은 폐쇄적인 곳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그 바닥의 당사자들이 아니면 알기 힘들다. 그런 곳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주와 사채업자 그들의 고객들의 상호관계와 거래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하는데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재미가 없다. 작가가 독자의 흥미를 돋우어 책을 놓지 못하게 하는 재주는 심히 부족하다. 1권만 읽는데도 상당한 참을성이 필요했다. 3권 모두를 읽는데는 매우 대단한 인내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