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에 주변에서 재미있다는 평과 좋은 평이 따라붙길래 관심만 갖고 있었다가, 막 사려는 순간 표절논쟁에 대해 알아버려 책사기를 포기했다가, 누군가가 선물로 던져줘서 마침내 읽고야 말았다. 과연 대단한 속도감으로 읽히는 책이었다.

전체를 세 부분으로 봤을 때, 첫 부분에서 꽤나 키들거리며 잔뜩 기대를 하고 쾌감도 느꼈지만, 가운뎃부분에서 거의 경악을 하고 말았다. 이건 웬 80년대 소설들의 지독한 클리셰란 말인가. 거의 최악의 수준. 그러다 마지막 부분으로 가서는... 조성훈의 재등장에 잠깐, 가슴이 뛰기도 했지만 실망스러웠다. 이 책에 쏟아진 칭찬과 작가에게 쏟아진 기대란, 지나치게 과도한 것, 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말았다.

역시나 이 책을 읽고 꽤나 비판적이었던 친구와 전화로 수다를 떨며 끌어낸 불만의 동의지점들.

- 일단 두번째 부분의 식상함에 대해서는 둘 다 진저리를 쳤고,
- 첫번째 부분이 주는 더없는 매력이란 작가의 것이 아닌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존재 자체가 주는 것이며
- 코미디로 시작해서 꼭 눈물 한 방울 떨궈주는 결말을 맺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는 작금의 한국 코미디영화들의 식상한 행태와 별 다를 바 없고
- 떨어지는 문장력을 과도한 수식으로 커버하려는 노력이 잔머리스럽고
- 소설의 주제와 메시지를 주인공의 대사를 통해 직설법으로 표현해 버리는 그 뻔뻔함에 결코 동의가 안 되며
- 굉장히 매력적인 캐릭터가 될 수도 있었던 조성훈이 제대로 안 살아 있으며
- 조성훈 외에도 실은 주인공을 제외하면 제대로 캐릭터라이징된 등장인물은 없고
- 전체적인 구성력이 떨어진다.

기타 등등.

두번째 부분부터 나는 웬 작가 지망생의 습작을 그것도 제3자가 '요약'해 놓은 걸 읽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아니면 다른 사람이 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더없이 썰렁한 화술의 다른 사람을 통해 '요약본'으로 듣는 기분. 세번째 부분에선, 마지막 팬클럽을 창단하고 결국 하는 일이 야구 게임 몇 번이란 데서 또 혀를 찼다. 이런, 상상력이 이렇게 빈곤해서야. 게다가 그 야구란 게 공을 본능적으로 잘 받아놓고 '그렇게 하면 어떡해?' 자책하는 거라니. 처음부터 안 잡거나 안 치면 몰라도. 그건 삼미의 야구가 아니다, 삼미 정신을 작가가 덜떨어지게 받아들인 거다 라는 친구의 주장이었고, 나 역시 동의한다.

처음의 경쾌하고 가벼운 수위를 끝까지 제대로 유지하며 더 밀고 나갔다면 훨씬 더 좋은 소설이 됐을 것이다. 삼미 슈퍼스타즈라는 소재를 가지고 훨씬 더 경쾌하고 명랑한 문체를 유지했더라면 훨씬 더 좋은 소설이 됐을 것이다. 어차피 '회고조'의 문체이니 회사를 짤리기 전까지 번번히 모범생이, 프로가 되는 선택을 계속하는 자신에 대한 자기조롱이 있었다면 훨씬 더 주인공의, 혹은 작가의 진정성에 수긍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이 소설에서 본 것은 전형적인 엘리트의 자의식 과잉과, 스스로를 아웃사이더나 루저라 칭하는 (실제론) '주류'들이 양아치에게 지나치게 의미부여를 하곤 할 때 드러내는 먹물 컴플렉스다. 그러니까, 나는 사회의 '주류'고 기득권을 꽤 가진 이가 고작 '한두' 번의 실패에 루저 운운하며 인생에 대해 갑자기 철학자요 깨달은 자인 척 하며 실패의 미학을 과도하게 찬양하는 포지션을 취하는 걸 웃기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건 딱 엄살에 불과하니까. (그런 놈들이 루저 운운하다가도 꼭 주류적 기득권이 주는 달콤한 열매는 절대 포기 못하더라.)

끝없이 자신을 생각이 깊고 뭔가 있으며 솔직한 놈으로 포장하려 하지만, 글쎄, 통찰력도 떨어지고 실은 단순하기 짝이 없는 사고를 지닌 인물에 실망하고. 게다가 이걸 쓱 정당화하고 어물쩍 넘어가는 한심함에 조금 혀도 찼고. '매순간 전쟁치르듯 직장 다니다가 짤린 후 재취업을 조금 시도해보지만 결국 자신의 상황에 큰 만족을 느끼는'는 후반부는, 이거 진짜 실패도 자기비애도 모르고 자기 꼴린대로 잘 살아온 주류인생이 어디서 남에게 줏어들은 정형화된 루저의 패턴을 그대로 반복하는 느낌이 들었다. 루저들이 느끼는 치졸한 자기비애나 불안함 같은 건 눈꼽만큼도 존재하지 않으니까. 결국 주류고 메인스트림이면서 실패자연, 아웃사이더연 하는 놈들을 볼 때 느끼곤 하는 역겨움을 이 책을 읽고 난 지금, 도 느낀다. 귀엽고 매력적인 수준엔 별로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나르시시즘.

지독하게 씹어놨지만 매력이 분명 존재한다. 위에 늘어놓은 지독한 독설들은 어쩌면, 오히려 매력들과 아쉬움에 대한 강한 표현일지도 모른다. 만약 두번째 부분이 완전히 다른 식으로 쓰여졌다면, 세번째 부분이 조금 더 성의있게 쓰여졌다면, 나는 이 책을 이런저런 부족함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열렬히 사랑했을지도 모른다. 심지어 재미있게 읽었던 첫번째 부분마저도, 책을 다 읽고 난 뒤에야 "이런저런 비겁함과 갈 데까지 가지 못한(혹은 밀어부치지 못한) 엉거주춤함(이게 또 루저연 하는 '주류'들의 전형적인 특징이다.)"이라는 생각이 드는 걸 보면. 그리고 소설의 매력의 대부분이 작가의 몫이 아닌 삼미 그 자체의 몫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 걸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