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들 말고 몇 권 더 있는데 

23년 달력과 다이어리 사면서 끼워넣은 책들. 


그 동안 책을 거의 사지 않아서 "일반" 회원이 되어 있었다. 

9월 중순에 중고 한 권을 사긴 했는데 그것 제외하면 최근 3-4개월 동안 산 적이 없는 듯. 

달력, 다이어리 주문과 함께 다시 플래티넘 회원 되는 건가. (1달 10만원이 기준이던가, 3달 30만원?...) 

전엔 읽지 않아도 많이 샀지만, 이제 읽지 않으면 살 수 없게 되었다. 



왼쪽 책 The life of the mind는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에서 듣고 담아 두었던 책. 

지금 미국에서 대학이 얼마나 "정신의 삶"과는 무관한 곳인가..... 가 주제인 소설. 오 동지여. 하고 담아 둠. 


호프스태터 전기는 책을 읽지 않으면 살 수 없게 된 지금, 아무리 읽고자 해도 읽을 시간이 없을 것인데 그래도 읽어야 하겠으니 얼른 살수록 유리하다고 생각해 두었던 책. 그래도 달력, 다이어리 아니면 사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 어둠의 경로로도 너무 쉽게 구할 수 있는 책일 것이고. 


디디온은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에서 독특한 말로 칭송하던 걸 여러 번 들었다.  

저널리즘이 어떻게 저자의 개성적이고 자신의 길을 모색하는 지적 활동이 되는가. 


블러드 차일드. 이건 다락방님 서재에서 버틀러의 모든 책을 읽겠다! 요지 백자평 보고 나서 나도 나도! 뇌화부동 부화뇌동 해서 검색하고 고른 책. 저렴한 중고가 나와 있는 것들도 적지 않아서 그것들은 제쳐두고 (나중 중고로 사야지) 중고 없는 책으로다 이것. 


아니 에르노. 

아니.. ;;; 사실 관심이 그리 가지 않는 편인데 집에 한 권도 그녀의 책이 없는 거 같으므로 

달력, 다이어리 증정 이벤트에 포함된 책이기도 하니 이것으로 냉큼 처음 모셔보는 것으로.  




내가 읽는 저자들에게서 

배울 것이 있을 때 빨아들이듯 배우고 싶어진다. 

디디온과 버틀러의 개성과 강점을, 그대로 나도........ (23년은 유별나게도 바로 이것이 실현되는 해가 되게 해봅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11-01 23: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중에
세권 읽었습니다 ㅎㅎㅎ

에르노 작품 중 몰리님에게
<세월> 추천 합니다 !

다이어리는 옆 동네 것이 훨씬 고급져 보여요 ^^

몰리 2022-11-02 05:51   좋아요 1 | URL
옆 동네 가본지 오래 되었는데, 가봐야겠습니다.
에르노 책이 있나 없나 헷갈렸는데, <세월>, 알라딘 중고로 사두었던 책이었어요. 지금 기억이 나네요. ㅎㅎㅎㅎ 어디 있나도 알 거 같은. 아이고. 사두기만 한 저 책들.
 

Academics | Department of History



캐롤 사임즈는 예일대 사학과 학부생 시절 만났던 교수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았고 그로 인해 중세사를 하게 되었다. 강의에서 해주던 얘기. 그 교수는 중세사의 새로운 경향을 이끌었던, 떠오르는 별이었던 사람. 중세사 연구에서 나온 가장 중요한 저술로 평가되는 책을 내고 나서, 이어 하려고 한 작업이 많이 있었는데, 47세 아까운 나이에 타계했다. 이름을 확인해두지 않아서 사임즈가 해주던 말을 넘어서 어떤 학자였는지 어떤 책을 썼는지 아직 찾아보지 못함. "하려던 작업, 할 수 있었던 작업이 많이 있었는데 이른 나이에 타계했다" 이런 얘기는 들으면 바로 깊이 와 닿는다. 나이들어가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경험일 것이다. 어느 시점 이후, 죽음을 전해 들으면, 그게 나일 수도 있었다.... 내가 아직 살아 있다는 것은..: 이런 반응. 


오늘 종일 오락가락. 우울하고 무력했던 하루. 

사임즈가 저 얘기 할 때, 내가 지금 당신에게 느끼는 그걸 당신은 그 교수에게 느꼈던 것이겠다... 생각함. 대학에 와보니 모든 교수들이 사임즈, 아니면 사임즈를 감화시킨 그 교수, 그렇다면 정신은 무엇을 체험하고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이 세상에서 가능한 가장 좋은 교육"이 여기 있는 거 아닌가. "이 세상에서 가능한 가장 좋은 교육" 이건 Shiza Shahid가 자기 부모에 대해 말하면서 썼던 구절이다. "내 아버지와 어머니는 파키스탄의 평범한 가족 출신이다. 그들은 결혼하던 날 처음 본 사이였다. 그렇지만 두 분은 자식에게 이 세상에서 가능한 가장 좋은 교육을 주겠다는 열망에서 완전히 한편이었다..."  


사임즈 같은 교수들을 만나면서 오래 배우고 공부한다는 건, 그러니까 

사유의 엔진, 생산의 엔진... 이것을 갖게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이걸 이제서야 실감한다는 게 참 ....... 아쉬운 일이긴 한데, 아예 실감하지 못하는 것보다 늦게라도 실감해 보았으니 다행. 정신의 삶, 이것의 직접 모델이 되는 분들. 이 주제로 많이 두고두고 생각해서 언제 아주 길게 쓰고 싶어진다. 어쨌든, 사적인 삶에 갇힐 때 사유의 엔진은 정지한다는 것. 


........... 하이고 할많하않.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캐롤 사임즈의 중세사 강의 들으면서 느끼게 되던 해방감. 

그건 그러니까 사적인 삶에 갇힌다는 저주가 풀릴 때의, 그 해방의 감정이었던 것이다. 

사적인 삶에 갇힌다는 것. 사적 이득의 추구, 사적 권력의 추구가 다인 삶에 갇힌다는 것.  

그렇게 갇힌 이들이 모여 만드는 지옥이 이 세상에 있는데, 그 지옥을 떠남의 해방감. 

................... 



10.26에서 김재규를 도왔던 정보부 의전과장 박선호의 말:


김재규 부장님을 모셨다는 것을 첫째 영광으로 생각하고, 저로 하여금 항상 인간으로 일깨워 주시고, 국가의 앞날을 버러지의 눈이 아니라 창공을 나는 새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똑바른 눈이 될 수 있도록 길러 주신 데 항상 영광으로 생각했습니다. 지금 또 그와 같은 상황에 처해도 저는 그 길 밖에 취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버러지의 눈이 아니라 창공을 나는 새의 눈. 

................. 



한국어가 존재하는 한 그와 함께 언제나 존재할 박정희 전기 4부작. 

그게 아직 나오지 않은 중요한 이유 하나가 이것이라 생각한다. 정신을 사적인 삶에 제한하기.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할 수 있으려면, 댜수가 "버러지의 눈"으로 국가의 앞날을 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하는 힘. 그게 권력의 의미였고 말입니다. 권력은 권력의 사적 남용. 


억울하면 출세해라. 출세하면, 공적인 것을 처벌 없이 훼손하는 힘을 가질 수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eading Lolita in Tehran




테헤란에서 롤리타를 읽다. 


이 책은 

수업에서 누가 이 책 얘기를 하자 "테헤란 아니어도 마찬가지다. 여기도 테헤란이다"던 교수, 대학원 시절의 그 장면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책. (이 얘기 이미 이 서재에서 두 번 이상 한 것 같습니다만..... 근데 그때 정말 웃겼. 웃"펐"... 근본주의가 정신이 감당해야 하는 현실인 모든 곳이 테헤란...)  


지금 내가 쓰고 싶은 책 하나는 

"발자크를 읽었던 그 해"이지 말입니다. A year of reading Balzac. 발자크를 읽었던 "그" 해... 이기보다는 발자크를 읽은 어느 해, 어느 일년, 쪽이지만 "the" year of reading Balzac, 이라고 제목을 하면, 발자크보다 그 "해"... 쪽이 중심이 되는 책이 되겠죠. 


그리고 그 책 다음엔 "바슐라르와 보냈던 여름" 이걸 쓰는 것입니다. A summer with Bachelard. 

"--- 를 읽었던 해" "--- 와 보냈던 여름" : 이것들은 --- 에 누구를 넣느냐에 따라 이러저러 추억들을 떠올리게 하는 제목들 아닙니까. 까뮈, <전락>과 보냈던 여름. 그 끈적했던 여름. 




이런 책들이 쓰여질수록 ㅎㅎㅎㅎ 여름도 달라지고 

... 시간도, 해도 (해 year) 달라지고, 삶이 달라질 것을 상상하게 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건 중세사 연구자 캐롤 사임즈가 일리노이 대학 학생들과 같이 했던 중세극 공연에서. 


사임즈의 중세사 강의는 

파괴하고 재구축하는 강의였다. 중세에 대한 편견을 파괴하고 새로운 중세 이해를 수립하는. 

같은 방향 비슷한 작업이 이미 오래 있었겠지만, 아직 완전히 주류가 되지는 않은 것 같다. 지금 이 순간도 확장이 계속되고 있는. 


그녀와 함께, 그녀를 따라 ㅋㅋㅋㅋㅋㅋㅋ 

중세를 새로이 이해함은 모든 우월주의를 (서구 우월주의, 백인 우월주의, 남성 우월주의) 붕괴시킴이기도 했다. 아니 정말, 그녀는, 이 모든 우월주의들을 붕괴시킬 마법의 열쇠를, 망치를, 중세사에서 본 거 아닌가? 그래서 중세사를 선택한 거 아닌가? 잠시 그런 생각이 들기까지 했는데, 이들을 무너뜨림에 내내 깊이 진심이고 따라서 집요했다. 


우월주의를 붕괴시킴은 모두까기이기도 해서 

.... 지금 기억나는 건 누구보다 몽테뉴, 몽테뉴 포함하여 유럽 지성사의 별들이 모두 까임. 



우월주의를 공격하고 부정하는 일에 진심이고 집요하다. 

이것은 사적인 작업일 수가 없을 것이다. "공적 정신"이라는 것에 닿지 (참여하지) 않는다면 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흉내로 그칠 것이다. 맞지 않는 배역을 연기하듯이 하는. 




*아이고. 

10월의 포스팅을 해보랴고 했는데 

아니 이 몇 줄 쓰는 게 이렇게도 힘들 일입니까. 

손가락이 후들후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