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 낯익은 지식들로 시작하는 인문학 공부
신동기 지음 / 아틀라스북스 / 2016년 3월
평점 :
인문학의 열풍으로 인한 **인문학 시리즈를 어지간히도 읽었다.
문사철(文史哲)이라고 정의되는 인문학은 그야말로 통섭의 분야라고 할만하다.
아주 가벼운 인문학적인 주제를 다룰것같은 책 제목과는 달리 한권에서 모든역사들과, 종교론과,
철학을 비롯한 과학사까지 모두 이 한권에 담아낸 놀라운 책이다.
어느정도 독서를 좀 한다 하는 사람은 모두모두 맛보기 정도를 해봤을것이고, 완독을 한 사람은
많지 않을 그런 녹녹치 않은 분야이다.
저자는 창의성과 인간관계를 향상시킬수 있는 수단으로 인문학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있다.
깊이 알고자 하는 욕심을 내려놓으라고 이야기 한다.
400여페이지로 구성된 이 한권에서 대체 이 분야의 이야기들을 어떻게 풀어냈을지 무척 궁금해졌다.
삽도 하나 들어있지 않은 이 책의 구성이 근간에 읽었던 말랑말랑한 책들과 비교되어 벌써부터 머리가 묵직해져온다. ^^
과일 두리안의 독특한 향을 예로 들어 저자는 인문학자체에 대한 가벼운 맛보기정도를 권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나도 격하게 공감한다. 아무리 지식과 인문학이 중요하고 훌륭한 분야라고 해도
일단 재미가 없으면 지루하고 더 어렵게만 느껴질것이다. 욕심을 갖고 도전했다 중도에 포기한 분야의 책들이 나도 꽤 있다. 일단 두께가 두꺼운 책들이나 시리즈물은 사실 큰 심호흡이 필요하다.
그런이유로 한번 도전해보고 싶지만 선뜻 시작하지 못하는 책들이 나도 꽤 있다.
열여섯개 인문학의 바탕을 이렇게 구성해 놓은 책으로 각각의 테마에대한 기본틀과 주요내용의
뼈대를 잡는 수준으로 접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그 이후의 새로운 지식들로
완성된 지식(knowledge Tree)을 만들어 갈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각각의 방대한 주제들에 대한 정리가 표로 수록이 되어있다.
전반적인 주제에 대한 하나의 핵심정리코너라고 보면 되겠다.
종교가 불교가 아닌 사람도 종종 불교용어에 관한 사상들을 접하고 일상에서 경험하기도 하는데
이미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사상에 대한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대중화가 되어 통용되는 사상들이다.
사회계약론에 관한 세 학자의 개념들이 비교정리되어있다.
쉽지 않는 이론들의 큰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런류의 표는 참 유익하다. 그러나 역시 쉽지않는
주제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바탕지식성위에 현실성의 기준으로 현재 우리 현실에서 많이 응용되고 인용되는부분에 초점을 맞춘 책속의 주제들을 바탕으로 '세상읽기에 관한 틀'을 세우는데 이 책의 구성은 꽤 어려우면서도 욕심이 나는 지식분야이다.
'아주 낯익으나' '쉽지않고 방대한' 이 책의 주제들을 통해 인문학 쉽게보기가 어느정도 가능해지는
첫걸음이 되길 기대해본다.
역시 인문학은 말처럼 쉽지않는 분야이고, 끝이 없는 분야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