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넥스트 씽킹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의 사고 대전환 프로젝트
솔 펄머터 외 지음, 노승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노벨 물리학 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철학자, 사회심리학자의 만남은 '정보 과잉'시대에 효과적으로 판단하는 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팀 티칭 학제 간 수업 '원대한 사상'이 개설되었고 쏟아지는 어마어마한 분량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정보들 속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고 전한 이야기다. 과학적 사고의 기법과 도구를 다루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넥스트 씽킹> 사고 대 전환 프로젝트의 테마다.
매일 무언가를 결정하고 판단해야 하는 우리에게 현실을 파악하고, 과신을 경계하고 불확실성을 이해해야 하는 것. 과학적 낙관주의나 경험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현명하게 판단을 하는 방법 등을 과학적 근거와 다학제적 관점으로 소개한다.
세 번째 밀레니엄(2001년~3000년) 사고를 원서 제목으로 삼고 있는 만큼 더욱 복잡해져 갈 시대를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생각하는 방법의 필요성과 사고 전환을 목표로 삼는다.

첨단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의 콜레라 대유행은 종이와 연필로 사망 현황을 지도에 표시했던 한 사람의 기록에서 식수로 쓰는 우물과 펌프가 있던 장소를 중심으로 몰려있는 사망자 원인을 파악하게 되었고 펌프의 손잡이를 뽑는 단순한 처치로 인해 사망자가 감소되기 시작했다.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커다란 문제를 해결하던 시대는 이제 지났고, 너무 많은 정보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오히려 판단의 고민을 안기는 경우가 많아졌다.
과학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설계를 통한 실험의 결과이자 솔깃한 발상이나 타고난 편향에 맞서는 방식이라는 믿음이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도 증거를 평가할 때 자신의 심리를 결부시키지 않고 기계적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와 사이비 전문가를 판단하는 가치판단의 기준이 필요하다. 복잡함의 층위가 깊어지는 시대를 사는 법은 역시 어렵다.
'새로운 생각법'의 필요성을 충분히 알겠고, 확증편향과 과학적 낙관주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에도 동의가 되는데 역시나 현실과 마주하는 순간에는 습관적으로 익숙하고 확증편향적인 결정을 종종 내리곤 할게 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꾸준하게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는 사례들이 반갑다. 하루아침에 책 한 권으로 개인의 기질이 바뀌기는 어렵지만 꾸준한 관심과 노력은 반드시 필요한 현대사회를 사는 우리들의 과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