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사람들은  죽어서도   영원히

                                살수 있다는 영혼 불멸설(도교적 신선사상)을 믿었습

                   니다. 따라서 고분은 죽은자의 쉼터 혹은 새로운 삶터였고 그 속에 그려지는

         벽화에는 죽은자의 땅과 하늘 그 안에서 새 삶을 누리는 모습을 담으려고 했을 것 입니다.

또한 죽은자의 무덤을  잘 꾸미는 것은 산자의 몫이였고 죽은자의 장식품이 산자의 자랑거리기

도 했습니다. 현재 발굴되는 고구려 무덤들은 그 시대를 대표했던 왕의 무덤이었거나 왕실관 관

련된  사람들의 무덤이었을 것이라고  판단되어 집니다. 따라서 이들의 무덤을 일반인의 무덤과

는 달리 특별하게 꾸미는 것은 당연한 이치였을 것이고 덕분에 우리는 고구려시기의 지배계층의

생활풍속과 정신세계를 엿볼수 있는 행운이 있는 것입니다. 

  그시대 사람들이 무덤에 그림을 그렸던 이유는 먼 후대 사람인 현재의   우리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했던 의도는   결코 아니였습니다.

 현재 우리는 무덤의   피장자을 위해 최선을   다하던 그시대   화사들이 그려놓은 장식문양들을

보고 그 상징성과 아름다움을 분석하고 연구하고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고구려 사람들이 죽은자의 안식처에그림을 그렸던 긍극적인 목적은 죽은자를 위한 최대

한의 의전 행위였던 것입니다.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4-03-16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따금씩 방송을 통해 보게 되는 고구려 고분 벽화의 그림을 보면 참 감동적입니다.
죽은자를 위한 최대한의 의전 행위로 죽은자의 안식처에 그림을 그렸다는 말씀에 공감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