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의 완성 - 수업의 완성을 위한 세 개의 열쇠
김성효.권순현.허승환 지음 / 테크빌교육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선생님들의 멘토 선생님들로 유명한 세 분이 강연한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 같다. 강연내용을 짤막한 글로 엮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담겨있지 않은 것 같지만, 큰 줄거리는 알 수 있었고, 짧지만 느낌은 있었다. 더 알고 싶으며 저자들의 강연을 듣거나 저자들의 다른 책들을 찾아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좁은 범위로는 선생님, 장래 선생님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읽어봤음 좋겠고, 넓은 범위로는 세상 어느 일이나 사람을 대하는 일은 비슷비슷하므로 모든 사람들이 읽으며 자신의 일에 대입하여 생각해보면 도움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의 학교 론 클라크 아카데미
론 클라크 지음, 이주혜 옮김 / 김영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인데 열정적인 선생님들만 모여 있는 것 같다.

열정은 또 다른 열정을 끌어들이니까.

학교가 학생들을 웃게 하고 행복하게 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지역주민들의 협조를 얻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모습이 엿보인다. 그리고 학생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잘 살아나가기 위해 다른 것들도 교육하는 모습이 놀랍다.

 

 

.............................................................................................................................

***아이에게 방이 더럽다고 반복적으로 잔소리를 늘어놓으면 아이는 정말로 자기 방이 늘 더럽다고 믿게 된다. 수학을 못한다고 반복적으로 말을 하면 스스로 수학 실력이 형편없다고 믿기 시작한다. 버릇없다고 말하면 정말로 그렇게 믿는다.

 

아이들은 어른들을 보고 자신에 대해 배우고 우리가 기대하는 대로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므로 아이가 지니고 있는 훌륭한 자질들을 발굴하고 칭찬하라.

 

부정적인 발언은 피하라. 우리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습관과 인성, 가치관, 자아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지금 가르쳐주는 크고 작은 행동들이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 때의 모습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아이들이 수업을 즐긴다면 가르치는 내용까지 즐길 수 있다. 즐거운 수업을 위해 나는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건 뭐든지 알려한든. 영화든, 노래든, 운동경기팀이든.


아이들은 높은 기대치를 걸 때 발전 가능성이 높다. 많은 것을 요구할 수록 많은 것을 성취할 것이며, 거꾸로 기대치를 낮추면 미래를 위해 필요한 도구와 기술을 얻지 못할 것이다.


성공의 50%는 지식에서 오지만 나머지 50%는 판을 움직이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자기 자신을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방법은 장래 고용주와 사업 파트너의 눈에 엄청나게 중요한 요소로 보일 것이다. 누구나 논리정연하고 세련되고 전문적으로 보이는 사람과 일하고 싶어한다.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판을 움직이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그 방법이 성공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려줘라. 좌중을 휘어잡아라. 그리고 편안하게 무대 위에 올라서라.


<예> '훌륭한 악수대회'

지역주민들과 학생들이 악수를 하게 하는 게임.

학생들이 지역주민들의 일을 도와주고 악수를 청하게 하라. 눈을 제대로 마주쳐라. 악수를 성의있게 할 것. 환희 웃을 것. 자신의 모습에 자신감을 갖도록 격려해주고 자연스럽게 밝게 웃을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 하버드가 선정한 미국 최고 명문고의 1% 창의 인재 교육법
최유진 외 지음 / 다산에듀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바꿔야 할 듯. 세계 최고의 학교는 어떻게 인성에 집중할까로.

보스턴 근교의 필립스 엑시커 아카데미(사립고등학교)에 관한 이야기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와 다빈치코드의 작가 댄 브라운이 이 학교 출신이라고 한다.


이 학교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인성이며 다음과 같은 것을 강조한다.

1. 지식이 없는 선함은 약하고, 선함이 없는 지식은 위험하다. 지식을 나누고 남을 배려하는 인성 엘리트가 되어라.

2. 질문은 있지만 정답은 없다. 끊임없이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실 에서 협력 속에 지식을 쌓아라.

3. 자신을 매료시키는 것, 진정 원하는 것, 새로운 것에 열정적으로 파고들어 창의적 인재가 되어라.

4. 감성, 지성, 체력의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전인적 인간이 되어라.

5. 대자연과 호흡하며 세계를 무대로 드넓은 꿈을 꾸어라.


학생들이 하나 이상의 스포츠, 예술(연극, 음악, 등) 등을 하는 것도 너무 부럽고,

(우리처럼 체육시간에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매일 함)

수업방식이 하크네스라는 탁자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8명이 토론하는 형식으로 하는 것도 너무 부러웠다. 학생들이 미리 예습을 하고(여기서 예습이란 교과서를 읽어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분야에 대해 할 수 있는 한 최대의 예습을 해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 책을 다 읽어오는 것) 내용에 대해 학생들끼리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하는 형식이다. (티뷔 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이 생각났다)


선생님은 그건 지금 연구중이다. 라든가, 범위를 벗어나는 질문에 대해서만 약간의 가이드라인을 정해주고 학생들이 거의 다 토론하는 형태이다. 학생들은 꿀먹은 벙어리가 되거나 내용을 잘 몰라 엉뚱한 말을 하지 않기 위해 더욱 열심히 한다고 한다.

이 학교를 졸업하면 대학 공부가 더 쉽다고 할 정도로 치열하게 하는 점에서 학생 및 교사 모두 고무되어 열심히 한다고 한다.

한 반의 학생수가 적으니 이러한 수업도 가능한 것 같다.


암튼 교육환경이 부러웠고, 스포츠나 예술을 하려면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토론 수업에서도 서로를 존중해주면서 해야하기에 인성이 저절로 갖추어지는 것 같다. 그리고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지내는 법을 배우게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한 교실에 학생수를 좀 더 줄이고, 스포츠나 음악, 미술 등을 해나가며 다른 공부도 해나가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하는 가족 - EBS 가족이 달라졌어요
EBS 가족이 달라졌어요 제작진 지음 / 김영사on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1. 부부는 언제나 한 팀이어야 한다. 자녀 문제나 고부와의 문제에 있어서도 부부가 한 마음이 되면 그 실마리를 풀어갈 수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팀워크를 발휘하려면 부부가 정서적으로 어느 정도 가까워져야 한다. 완벽한수준은 아니더라도 정서적인 친밀감을 높이기위해서서로 원하는 바를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자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대방의 말을 들었을 때 그것에 대해 찬성한다 또는 반대한다라고 말하기전에, 먼저 상대방의 느낌과 욕구를 그대로 알아주세요. 일단 수긍해주는 것이죠. 그래야 상대방의 마음이 풀리거든요.또 그래야만 서로가 가까워질 수 있고요. 그리고내가 말을 할 때는 상대방에게 '어떻게느껴?' '어떻게 생각해'라고 그때그때 물어보는 것이 굉장히중요해요.그래야 대화의흐름을함께 이끌어갈 수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아이를 바꾸는 성격의 비밀 - EBS 다큐프라임 3부작 『당신의 성격』을 재구성한 자녀양육 지침서
김현수 지음 / 블루앤트리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성격 나쁜 성격은 내 관점에서 바라봣을 때 얘기고 객관적으로 그런 건 없다.

 

성격은 여러 유전자의 조합으로 생긴 것이므로 변하기 힘들다. 받아들여야 한다.

상대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대를 대하면 이해하기 쉬워진다.

자식의 성격이 맘에 들지 않는다고 바꾸려하는 것은 들장미에게 장미가 되라고 하는 것과 같다.

상대의 장점을 찾아바라보자.

그리고 성격에 따른 공부법이 따로 있으니 잘 파악해서 공부에 도움을주자.

 

교육이란educare

지식을 세뇌시키는 것이 아니고

상대의 잠재력을 밖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란말이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