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는 혀
이명원 지음 / 새움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패기에 넘치는 젊은 비평가 이명원이 한국문학비평의 가장 높은 봉우리들인 김현, 김윤식, 백낙청, 임화에 오르고자 시도한다. 그 열정과 패기 넘치는 시도 하나만으로 나는 가슴 벅차다. 네 명의 비평가들을 다룬 네 편의 비평 논문들을 읽을 때보다 <‘타는 혀’로 말하기>라는 서문이 더 뜨겁게 느껴진다. 김현과 김윤식과 백낙청과 임화를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았고, 제대로 모르면서도, 이명원의 이 비평집을 택한 까닭도 거기에 있었기 때문일까. 메타 비평이라는 점에서 후일 읽게 될 네 명의 비평가들에 대한 ‘선입견’을 만들어놓을 가능성을 두려워하기도 했다. 이명원의 눈을 통해서만 비평가들을 해석하게 될 위험을.


첫 번째, 김현에 대한 논문은, 네 편의 논문 중 가장 분량이 많다. 김현의 우상화를 경계하면서 김현을 비판적으로 읽는다. 청년기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에 경도되었던 불문학자로서의 섬세한 언어감각과 그로 인한 한계, 4.19세대로서 구세대와의 구별 지으려는 세대론적 인정투쟁의 (실제 문학장 내에서의) 성공과 과도한 세대론적 수사 전략에서부터 생기는 논리의 붕괴 등은 그다지 새로운 내용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김현의 비극적 세계관의 뿌리를 “퓨리탄적 세계인식”에서부터 찾는 대목은 흥미로웠다. 그것은 평론가 김현을 학적으로 다룬 것이면서 동시에 “인간 김현”에 대해서 추측한 부분이었기 때문일까. “써먹을 데 없는 문학”이란 김현의 문학관이 그의 부모의 강력한 영향 하에 의해서 탄생한 것이라는 점은 설득력 있다.


두 번째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김윤식 비평에 나타난 ‘현해탄 콤플렉스’ 비판>이란 논문. 여기에서 이명원은 김윤식이 임화를 항상 염두에 두고 문학 비평과 연구를 전개해나갔는데 어느새 그의 이식문학론에 동화되어버렸다고 비판한다. 그 결과, 김윤식은 가라타니 고진을 표절하기에 이르렀다고. 임화를 타자로 설정하여 비평가로 자기 정립하려는 대결 의식을 버리고 끝내는 타자에 동화하기에 이른 김윤식.


의도적으로 한국문학비평계의 가장 높은 봉우리들만을 골라서 비판한 이명원의 자기 정립의 노력과 젊은 비평가로서의 패기, 그리고 ‘반면교사’로 삼기 위해 대가 비평가와 논문을 통해 대화에 나선 점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우주 2004-04-02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사서 읽어야겠어요. 역시 사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