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 단군에서 김두한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홍세화 홈페이지에 갔다가 [그대 이름은 ‘무식한 대학생’]이란 칼럼을 읽었다. 그 칼럼에서 홍세화가 특히 날을 세우고 비판하는 지점은, 대학생들의 한국 현대사의 무지였다. 현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현대사를 훑어보는 일이다. 과거가 지금의 모든 것을 말해줄 수는 없지만, 많은 것을 말해줄 수는 있다. 그러나, 그런 당위를 아는 것보다는 구체적인 역사를 현실과 함께 겹쳐 읽어 보는 것이 더 필요하다. 나 자신도 대강의 몇몇 일을 조금씩 주워들어서 알고 있다고 스스로에게 기만해왔을 뿐, 한국 현대사에 대해서는 무식한 대학생이었다. 홍세화의 칼럼을 읽고, 자신의 무식과 그로 인한 부끄러움을 조금이나마 덜어보고자 현대사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게으른 성격 탓에 그 다짐을 한 후 몇 달 뒤에 한홍구의 이 책을 골라잡게 되었다. 대학 입학 후에 문학이나 가벼운 인문학 관련 책들을 주로 읽다보니 고교 시절 때보다 오히려 역사에 대한 관심이 줄었었는데, 그런 독서 편향에 대해서도 반성도 해봤다.

한홍구는 한국 현대사를 두고, 과거와의 끝없는 대화를 나눈다. 역사란 과거사이면서 현대사라는 사실을 시종일관 환기시켜준다. 끝나지 않은 어제, 그 시간 탐험은 책 속에만 갇혀 있는 일이 아니라 너무도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한홍구의 손가락은 친일과 극우의 뿌리가 박힌 땅을 가리키고 민간인 학살에 대해서도 거침없이 말한다. 기억하지 않는 자는 윤리적일 수 없음을, 한홍구는 가르치고 있다. 시간의 흐름이 아닌, 우리 현대사의 생채기에 남겨진 고통을 따라서 기억하라고 한홍구는 쓰이지 않은 글자들로 말하고 있다.

한 가지 눈여겨 볼 점. 비판적 지식인들의 대열이 커지고 있음에도 <병영국가 대한민국>의 실체는 잘 드러나지 않는데, 먹물들의 군화에 대한 콤플렉스일까? --군사독재의 시절을 지나는 동안 바른 목소리를 낸 지식인들은 군화에 숱하게 짓밟혔을 것이고, 문약한 지식인들은 군화 밑에서 숨죽였을 것이다. 아니면, 이 땅의 장삼이사들처럼 그들도 술자리에서 현란한 군대 무용담을 펼쳐냄으로써 가벼~웁게 청년기 최대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해결하는 것일까. 어쨌든, 이 책을 보면, 한홍구는 ‘군대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문제 제기가 더 큰 힘을 얻기를 바라며 그 힘이 ‘병영국가’에 대한 정당한 혁명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대한민국 군대가 국외의 인권단체로부터 지적받는 수모만큼은 피해야하지 않겠는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04-03-18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작년 말부터 KBS1에서 하는 <인물현대사>를 기회있는대로 보고 있죠. 학교 졸업한지가 꽤 되는데, 그거 보면서 제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이렇게 무심하고 무식했구나 새삼 반성하며 보고 있습니다.
오늘, 님의 마이리뷰를 읽으니 이 책도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도대체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매스컴과 사람들 말 가지고야 어찌 재대로 알겠습니까.
홍세화님의 홈페이지가 있다는 것도 오늘 첨 알았습니다. 한번 들어가 봐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