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국선랑 을지소 2 - 밤하늘에 빛나는 일곱 개의 별
정지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고구려 국선랑 을지소. 2 를 읽으면서 약간의 해프닝이 있었다. 살인귀의 정체편을 읽다가 설인귀가 나오는 것을 보고 설인귀의 오타라고 잠시 생각했었는데.......살인귀의 뜻을 찾아보고 웃고 말았던 것이다.

 

살인귀란 함부로 사람을 죽이는 악한 사람을 귀신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자꾸 예전의 S본부에서 보았던 연개소문이라는 드라마가 문득문득 떠 올랐다. 연개소문이라는 드라마에 을지소를 비롯한 국선랑들을 판타지적으로 첨가해서 상상하니 이 책과 비슷한 영감이 되어 돌아온다는 느낌을 받았던 것이다.

 

판타지 소설답게 을지소를 비롯한 우리의 주인공들은 참 고난을 많이 겪으면서 이겨내어 갑니다. 그런데 문득 실제 고구려 아이들은 어떤 생활을 했는지 궁금해서 고구려 아이들은 어떤 생활을 했나?의 의문점을 풀어줄 당시 생활상을 알려드립니다.

 

고구려 아이들은 어려서 집에서 공부했습니다. 나이가 들면 귀족은 태학, 서민은 나라에서 세운 경당에서 공부했어요. 너무 가난해서 온달처럼 학교에 가지 못했던 아이들도 있었던 것 같아요. 학교에서는 역사와 조상에 대해 배웠습니다.


또한 아이들은 재미있는 놀이를 했어요. 달리기를 잘해 산길을 평지 달리듯 했다고 중국인들이 놀라서 기록하고 있어요. 누구나 어려서부터 활쏘기와 말 타기를 배웠다고 합니다. 칼, 창, 단검 등을 쓰는 것도 배웠고 돌 던지기나 막대기 던지기도 열심히 했답니다. 전쟁 때 한몫하기 위해서죠. 씨름의 나라니까 씨름을 즐겨 했습니다. 오늘날의 태권도 같은 수박희라는 무술도 배웠어요.

 

아이들이 자라서 청소년이 되면 산과 들판을 말 타고 달리면서 사슴이나 호랑이 사냥을 했어요. 매를 키워 매사냥도 했습니다. 매년 3월 3일이면 모든 청소년이 낙랑언덕에 모여 시합을 벌이곤 했답니다.

 

여자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베를 짜고 옷을 짓는 기술, 음식 만드는 법을 배웠습니다. 말을 기르기도 하고, 직접 타거나 무기를 다뤘던 것 같아요. 평강공주가 대표적인 사람이죠.

 

연개소문의 누이동생들은 전쟁을 지휘했다고 합니다. 물론 가난한 아이들은 강에서 고기잡이도 하고, 목동이나 나무꾼 노릇도 했지요. 하지만 모두 나라를 지키고 발전시키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다시 책으로 돌아가 을지소를 비롯한 국선랑들의 활약이 이 책을 줄거리를 이룹니다.

 

모든 전쟁은 죽음을 남깁니다. 이 책의 끝부분에 가면 소는 적이었던 당군을 살리려다 자신이 벌집처럼 화살을 맞게 됩니다. 무곡도인을 비롯한 5명의 도인들의 도움으로 관문을 통과할때 마다 받은 구슬을 이용해 치료를 받습니다.

 

과거 연개소문도 선골이 되고자 했으나 실패했던 것을 소는 모든 욕망을 버릴고 살고자 하는 인간의 마땅한 욕망마저 버리고 선골로 인정을 받습니다.

 

을지소는 선골의 경지에 다다르게 됩니다.

 

이 책은 자신을 버리고 선골의 경지에 이른 을지소를 통해 이 시대의 을지소가 가져야 될 덕목을 말해 주는 것 같아 감동적인 판타지 소설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