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물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김선영 옮김 / 리드비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뢰성』 다음에 『가연물』이라니. 요네자와 호노부의 최고점은 어디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연물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김선영 옮김 / 리드비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 독자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저자의 도전장을 받아들이는 사람과 저자의 안내를 받는 사람. 전자는 작품 속 단서를 모아 직접 추리하는 사람이고, 후자는 저자가 제시하는 이야기와 결말을 즐기는 사람이다. 

 


정답은 없다. 장르에 따라 추리가 불가능한 작품도 있다. 하지만 공정한 추리소설을 읽으며 저자와 한 번도 '추리 대결'을 펼치지 않은 사람은 추리소설의 진가를 100% 맛봤다고 할 수 없다. 






『가연물』은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인 요네자와 호노부의 신작이다. 일본의 주요 미스터리 문학상인 <미스터리가 읽고 싶다> 1위 ·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 주간문춘 미스터리 베스트 10> 1위 · <본격 미스터리 베스트 10> 1위를 차지한 작품이며, 독자와의 추리 대결을 펼치는 본격 미스터리를 표방하고 있다.



<블록버스터 영화와 예술 영화는 감상 포인트가 다르다>

『가연물』은 <올 요미모노>라는 일본 잡지에 2020년 7월부터 비정기적으로 연재된 요네자와 호노부의 단편 다섯 개를 엮은 책이다. 군마 현경 본부 형사부 수사 1과 가쓰라 경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각각의 단편은 <사건 발생 → 조사 → 단서 수집 → 추리 → 결말>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이 아주 담백하게 표현된다. 등장인물 또한 이렇다 할 서사가 없다. 그 덕에 오롯이 '추리'에만 집중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이 『가연물』의 호불호를 가른다.



연쇄살인과 같은 흉악 범죄가 일어나고 경찰이 이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숨겨진 비밀이 하나둘 밝혀지며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추리소설은 분명 흥미롭다. 도파민을 자극하며 책을 손에서 뗄 수 없게 만들며 결말부에서는 짜릿함을 선물한다. 비유하자면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 영화와 닮았다. 



하지만 일본 추리소설 『가연물』은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상을 휩쓴 예술 영화와 비슷하다. 본질에 충실하여 작품의 내공을 느낄 수 있으며, 독자의 태도와 역량에 따라 감상이 달라진다. SNS 상에서 『가연물』에 대한 평이 갈리는 건 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선 직접 운전대를 잡을 용기가 필요하다.



<단서는 모두 주어졌다>

한 줄 평의 775분(12시간 55분)은 내가 『가연물』을 읽는 데 걸린 시간이고 위 표는 상세 내역이다. 330쪽 내외의 책을 읽는 데 13시간 가까이 소모하는 건 분명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좋은 작품을 제대로 맛보기 위해선 그에 합당한 수고가 필요하다. 사건 현장을 상상하고 주인공처럼 단서를 모으며, 작가가 심어둔 복선을 찾아 해답에 도달하는 건 '공정한 추리소설'에서만 즐길 수 있는 별미다. 선택은 독자의 몫이다.



참고로 약간의 힌트를 주자면 첫 번째 단편 <낭떠러지 밑> 어떤 흉기가 사용되었나이고, 두 번째 ~ 네 번째 단편은 범인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가이고, 다섯 번째 단편은 범인은 누구인가에 대해 추리하는 문제이다. 소설 속에서 굵은 글씨로 쓰인 단어와 주인공 가쓰라 경부가 반응하는 곳에서 잠시 멈춰 추론하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란다.



-------------------------------------------------------------



'공정함'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했지만, 『가연물』은 소설로서도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 작가가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방식, 배경을 설명하는 방식, 플롯을 배치한 방식, 독자의 시선을 돌리는 기교 등 노력하는 천재 요네자와 호노부의 기술을 마음껏 엿볼 수 있다. 



일본 추리소설 시장이 오래도록 인기를 유지하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이유는 중 하나는 '유연함'이다. 본격 미스터리 · 사회파 미스터리 · 신본격 미스터리를 거쳐 최근 몇 년 동안 유행한 도파민이 팡팡 터지는 특수 설정 미스터리를 지나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본격을 이야기하는 게 여러모로 대단하다. 그 증거가 요네자와 호노부의 『가연물』과 히가시노 게이고의 『당신이 누군가를 죽였다』이다.



킬링타임용 충격의 반전이 기다리는 추리소설을 기대하는 독자에게  『가연물』은 분명 심심할 것이다. 하지만 편식은 좋지 않다. 저자가 보낸 도전장을 열어보길 권한다.




<참고 자료>

1. books.bunshun / 祝 『可燃物』ミステリランキング3冠! 米澤穂信による警察ミステリの新たな傑作。刑事の“名探偵”は菓子パンとカフェオレがお好き?

2. book.asahi / 米澤穂信さん「可燃物」インタビュー 主人公は現役警部、ミステリ小説で描きたい「より大きなもの」

3. sankei / 謎解き小説の核とは 『可燃物』米澤穂信著

4. books.bunshun / ミステリーを書くために“警察”を選んだ――『可燃物』(米澤穂信)

5. 디시 인사이드 추리소설 갤러리 /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2024 요네자와 호노부 인터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시스템 - 거의 모든 일에 실패하던 자가 결국 큰 성공을 이루어낸 방법, 개정판
스콧 애덤스 지음, 김인수 옮김 / 베리북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핵심 한 줄은 인상 깊지만 그걸 뒷받침하는 근거나 사례가 부실하다. 자기계발서나 동기부여 영상을 자주 접한 독자라면 얻을 게 별로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아이디어 물량공세 - 스탠퍼드대 디스쿨의 조직 창의성 증폭의 과학
제러미 어틀리.페리 클레이반 지음, 이지연 옮김 / 리더스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능 vs 루틴
‘창의성‘에 대한 인식 전환.
재능의 한계를 느낀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희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행의 순례자 캐드펠 수사 시리즈 10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캐드펠 수사 시리즈>는 각각의 이야기고 독립적으로 완결되기에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는 작품이다. 하지만 전체 시리즈의 절반에 해당하는 10편 『고행의 순례자』만큼은 1편 『유골에 대한 기이한 취향』과 9펀 『죽은 자의 몸값』을 읽고 펼치는 게 여러모로 좋아 보인다.




『고행의 순례자』은 '1141년 4부작' 중 2편에 해당한다. 시리즈의 포문을 열었던 1편의 핵심 소재였던 '성녀'를 비롯하여 9편에서 가볍게 언급되었던 '로랑스 당제'가 이번 편에서는 비중 있게 다룬다. 전작을 읽을 팬들에게는 일종의 선물 같은 장치인데, 시리즈물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살필 수 있는 교보재 목록 중 하나로 메모했다.




『고행의 순례자』줄거리(스포 없음)

1141년, 성 베드로 수도원은 성녀의 유골 이장을 기념하는 축제로 떠들썩하다. 캐드펠 수사 또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모여든 사람 가운데에는 치료를 목적으로 온 사람도 있고, 자신의 신앙심을 더욱 굳건히 하기 위해 온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모두가 경건한 마음으로 온 것은 아니었으니...... 불순한 동기를 품고 수도원을 찾은 이 또한 존재했다. 결국 축제를 앞두고 살인사건이 벌어지고 캐드펠 수사는 모여든 사람 중에 범인이 있을 거라 생각하며 조사에 나선다.




<기적은 존재하는가>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이 작품은 종교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특히 이번 9편 『고행의 순례자』는 특히 종교 관련 소재를 많이 다루는데, 나처럼 종교관이 옅은 무교인 사람이 보아도 딱히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다. 가장 큰 이유는 '캐드펠 수사'의 언행이 종교인을 넘어 사람 자체로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간혹 타락한 종교인들은 스스로를 신이라 칭하고 사람 위에 서려고 거짓을 내뱉는데 캐드펠 수사와 많은 면에서 비교된다.



살다 보면 말 그대로 '기적' 같은 일을 목격한다. 누군가의 조작일 수도 있고 현재의 과학 기술로는 도저히 해명할 수 없는 어떤 원리가 숨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일 뒤에는 '인간의 욕망'이 존재한다는 걸 앨리스 피터스 작가는 주인공을 통해 전한다. 책장을 덮고 나서 결국 우리 삶고 하나의 순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선과 악이 반복되며 더 나은 삶을 위해 나아가는 게 우리의 삶일 테니까.




나는 추리소설을 크게 '따뜻한 작품'과 '차가운 작품'으로 나눈다. 전자는 이야기의 중심에 사람이 있고, 후자는 논리가 있다. 몇 년 동안 일본 추리소설의 유행을 이끌었던 '특수설정 미스터리'가 대표적인 차가운 추리소설이다. 인물보다 사건 그 자체. 그리고 트릭과 반전에 초점을 둔다. 반면 베스트셀러 <캐드펠 수사 시리즈>는 아주 따뜻한 작품이다.



인간사에 있어 범죄는 필연적인 주제다. 감정이 존재하는 한 사건 · 사고는 계속 일어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말 못 할 속사정이 숨어 있을 수도 있다. 범죄는 범죄지만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따뜻한 추리소설은 그래서 소중하다. 베스트셀러 추리소설 『고행의 순례자』의 여운이 길게 남는 이유다. 



(북하우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