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2월 19 일이면 설개사무소에서 일한지 꽉채운 삼년이 된다.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데 나는 어떻게 살아왔나?

1. 돈돈돈
첫째도 돈 둘째도 돈이다. 셋째가 있다면 그것도 돈이다. 자본주의에 살고 있으니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용을 추구하는 것은 기본일터. 건축가의 센스는 최적의 자원배분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2. 시스템
이미 많은 것들이 결정되어있다. 구조 시스템은 해석과 시공의 용이성을 기반으로한 기둥-보-슬라브 시스템.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기성품들의 조합. 레고나 건축이나 부재들의 조합이라는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3. 차이
사실 개념적으로 새로운 건축물은 (거의) 없다. 그 정도의 파격을 보여주는건 도요이토 정도인듯. 그런 경우를 제외한다면 차이는 미묘한 곳에서 나온다. 기성품의 조합인 현실에서는 어려운 부분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기성품 건축이 아닌 맞춤 제작식으로 가야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 같다.

4. 실수
실시설계가 끝나고 납품하는 도면의 양은 200장 정도 된다. 건축과 구조만 포함해서 그정도니까, 설비나 전기, 조경, 토목, 인테리어의 전공정의 도면의 양은 수백장에 이른다. 인간이 시간 내에 통합적으로 다룰수 있는 정보의 양은 한정되어있는 것이다. 숙련된 건축가와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기획 능력과 수행능력을 제외한다면 실수에서의 빈도수가 아닐까.

5. 목표
어느것 하나 뺄래야 뺄수 없고 모든 요소들이 그물망처럼 꽉 짜여져있는 건축물을 만드는 것. 푸가와 아이폰의 건축화는 됐고...그냥 즐겁게 꾸준히 그러나 먹고살만큼은 벌고 살수있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irbag 2012-12-16 1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벌써 삼년이라니 시간 참 빠르다. 건축가구랴 건축가야.

나도 어서 돈 벌고 싶다. 생각해보면 책상머리에서 뭔가를 배우는 스타일은 아니었던거 같은데 어쩌자고 학생질을 십년 넘게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고품격 건축 자재 사업 같은거 하고 싶다. 틈새 잘 파고들면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현시창)

일개미 2012-12-20 11:12   좋아요 0 | URL
난 학생질 하고 싶다ㅋㅋ자재가 많이 남긴 하는듯.좋은거 있으면 나중에 들여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