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 2004년 제28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김훈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확히 기억할 수는 없지만, 한 번 이 책을 빌렸던 적이 있다. 그때는 아마 <화장>을 읽고 감동을 받았었고 박민규의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를 읽었는지 말았는지 하고 다시 도서관에 책을 반납했었다.

후배가 좋다고 소개를 해서 다시 읽어보니, 그 후배의 말마따나 좋은 소설들로 가득 찬 책이었다. 각각의 단편들이 서로 전혀 다른 빛을 뿜어내며 다른 감상을 안겨주는. 그 중 좋지 않다고 생각되는 소설은 하나도 없는.

나는 특히 전성태의 <존재의 숲>과 김승희의 <진흙파이를 굽는 시간>을 좋게 읽었다. 전성태는 행간을 아는 작가가 아닐까 싶었고, 이런 소설 꼭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지경이었다. <진흙파이를 굽는 시간>은 말이 넘치는 시대, 욕망이 넘치는 시대에 대한 전혀 다른 방식의 표현이랄까, 그런 것들이 좋았다. 특히 마지막의 진흙이 허물어지는 느낌, 그렇다고 허무한 게 아니라 아스라이 깨어나는 꿈 같은 느낌이 좋았다.

이 정도만 써야겠다.




-오줌이 빠져나간 방광이 빈 들판처럼 느껴졌다.

김훈, <화장> 중



-그것들은 태어나자마자 절정을 이루고, 절정에서 죽고 절정에서 떨어져 내리는 것이어서 그것들의 시간은 삶이나 혹은 죽음 또는 추락 따위의 진부한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어떤 새로운, 절대의 시간이었다.


-만유의 혼음으로 세계와 들러붙으려는 욕망이 어떻게 인간이라는 종과 속 안으로 수렴되어 마침내 보편적인 여자, 그리고 더욱 마침내, 살아있는 한 구체적인 여자에 대한 그리움으로 정리되어 오는 것인지에 관하여 나는 아직도 잘 말할 수 없다.


-사랑을 이룬다는 저 속된 말에 의지해서 인간이 희원하는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숲’은 글자 모양도 숲처럼 생겨서, 글자만 보아도 숲에 온 것 같다.


-숲은 그 나무 사이사이에서 새롭게 태어나는 낯선 시간들의 순결로 신성하고


-이 무정한 자연이 인간을 위로하고 시간을 쇄신해 주는 것은 삶의 신비다.


-씨앗 한 개의 해안 표착은 무서운 인연이다.


-철새의 발바닥에 붙은 씨앗 한 개가 대륙을 건너가 새로운 숲을 이루기도 한다.


-나뭇잎 사이로 걸러지는 빛은 세상을 온통 드러내는 폭로의 힘을 버리고


-길은 다만 밀고 나가는 그 순간에만 있을 뿐이다.


-그는 외로움에서 슬픔을 제거한다.


-그는 자신과 싸워서 이겨낸 만큼만 나아갈 수 있었고, 이길 수 없을 때는 울면서 철수했다.

김훈, <가까운 숲이 신성하다> 中



-그는 절망을 부인하지도 않고 절망을 중언부언하지도 않았다.


-명량바다로 나가는 그의 마음은 칼에 시 한 줄을 새기는 그 단순성이다. 그리고 삶을 수식하지 않는 그 삼엄함이다.


-우리는 패션이 공격 무기가 되는 세상에서 살기 싫다. 우리는 아름다움의 힘이 현실을 개조할 수 있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김훈, <충무공, 그 한없는 단순성과 순결한 칼에 대하여> 中



-일 리가 0.4킬로미터니까 삼십 리는 별거 아니네. 하지만 그러나 그 시에선 가도 가도 온 천지에 비가 온다…… 이렇게 되는 것 아니야? 울고 있는 마음은 언제나 왕십리야.


-우리는 간신히 버티고 있는 진흙파이잖아. 물기가 없어 버석버석하긴 하지만 울면 진흙이 흘러버려. 진흙이 마구 흘러내리면 우리는 자신을 잃게 되잖아. 굽자. 굽자. 또 굽자. 흘러내리려는 내 몸을 굽기 위해 나는 너에게 전화를 거는 거야. 비 내리는 마음의 왕십리에서…… 진흙 파이를 굽기 위해. 구워야만 해. 구워야만 하지. 비 내리는 왕십리를 헤쳐 나가기 위하여.

 

-창자 속의 회가 동하는 것처럼 우울이 발광하는 시간.

김승희, <진흙파이를 굽는 시간>

 

 

-캄캄한 삶을 밟아야겠지요. 그러면 말이 자연히 따르지 않겠소?

-자기 연민은 공연히 억지가 되기 십상이지. 그저 남 이야기나 재미나게 듣는 수밖에. 절실하면 남 얘기가 내 얘기가 되는 것 아니겠소?

-달밤에는 달빛 한 낱 한 낱이 옥수수 밭에 칼처럼 꽂혀서 밤새 나가 주울 것도 같았다.

-전성태, <존재의 숲>

 

-나는 그저 넓은 바깥에 쫓겨나 있을 뿐이다. 이토록 넓은 바깥에.


-삶과 영화는 어느 순간부터 서로를 표절하는 것 같다.

정미경, <발칸의 장미를 내게 주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