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밀란 쿤데라 지음, 김재혁 옮김 / 예문 / 1997년 2월
평점 :
품절


Směšn Lsky/ Milan KUNDERA


내가 어떤 사람한테 “야 이 돼지 같은 새끼야”라고 했다고 치자. 그러나 이 말은 실제로 어떤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내가 속한 세계에서 쓰는 농담 비슷한 말이다. 웃자고 하는 말이라는 거다. 그러나 그는 그 말을 대단히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그는 다른 세계에 속해있으므로 어쩌면 그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관계는 틀어진다. 내가 어떤 변명을 한다 해도 그 말의 위력은 그에게 이미 힘을 발휘해 버렸고 그러므로 다른 어떤 말도 그만큼의 힘을 획득하지 못한다. 이미 바람은 불어버린 것이다.
밀란 쿤데라의 소설은 간단히 말해 이런 상황을 그리고 있다. 물론 세상이 둘만 살고 있는 게 아니므로 사회적인 요인은 훨씬 복잡하게 작용하고 게다가 제 3자가 개입하며 문제는 더욱 길을 잃고 처음이 어디였는지 생각할 수조차 없게 된다.
특히 첫 소설, 「아무도 웃지 않으리」는 이런 상황이 사회주의 국가라는 특수한 조건 하에서 어떻게 한 개인을 몰락키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문제는 진실이다. 나는 진실이 아니지만 상대방은 진실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문제가 커진다. 나는 그 문제가 불어나도 별로 개의치 않는다. 나는 진실이 아니므로. 그러나 주변은 그것이 진실인가 거짓인가 농담인가 이런 문제를 따지지 않는다. 말의 표면이 사회의 규칙에 어긋나는가만 따진다.
진실의 반대말은 거짓이 아니다. 거짓이라도 진심으로 말한다면 그것은 진실이다. 진실의 반대말은 아무런 의지 없이 한 번 지껄여본 농담이다.
번역자도 인용했듯 마지막 단편 「에두아르트와 신」에서 ‘진지하지 않은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스스로 진지하지 않게 되는 걸 뜻하지요’ 라는 에두아르트의 말은 이 소설 전체의 테마와 맞닿아있다. 광적인 믿음, 이미 이성의 세계를 벗어난 어떤 논리에 대해 이성적으로 반박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그러나 상황은 종종 우리를 그런 식으로 이끌어간다. 이성을 벗어나 광신적인 상황 속으로 밀어넣고 그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어쩌면 농담인지도 모른다. 그와 동일시되지 않기 위한 최선은.
나는 한때 모든 것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또한 한동안 그렇게 했던 것 같다. 어쩌면 그것은 나만의 항변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내가 진지하지 않다는 것, 세상 또한 별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래서 당분간 반항하는 심정으로 모든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그러나 역시 그것은 우스운 짓이었다. 때로는 우스운 짓이 필요하므로 그게 아주 나쁘지는 않았다. 나름대로 세상이 달라 보였던 것도 같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속하지 않는 걸 보면 그것도 곧 질렸나보다. 결국 어떤 것에든 질릴 수 있다. 진실이 아주 대단한 힘을 갖는 건 아니다.
세상은 우리의 의도가 만들어가는 게 아니다. 지킬 수 있는 건 사실, 너무도 적다. 많으면 한두 가지 정도이다. 쿤데라의 소설은 규격화의 우스움, 지킬 수 있는 게 적은 세상에서 모든 걸 지키려드는 것이 얼마나 우스운가에 대한 항변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사회가 강요하는 여러 가지 것들은 얼마나 우습게 우리를 가로막고 우리의 농담은 때로 독이 되어 급소를 찌르는가. 이것은 인간의 문제이다. 우리는 모두 서로 다르게 인식하는 세상 속에 살고 있으므로. 영원히.

 


“형, 형이 솔직한 사람이라는 건 나도 잘 알고 있고, 또 그게 자랑스럽기도 해요. 그렇지만 도대체 왜 진실을 말하는 건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그래야 할 의무가 우리에게 있는 건가요? 그리고 도대체 왜 진실에 대한 사랑을 미덕으로 간주하는 거죠? 자기가 물고기이며 우리 모두 물고기라고 주장하는 미친 사람을 만났다고 생각해봐요. 그러면 형은 그 사람과 논쟁을 벌일 거예요? 그 사람 앞에서 옷을 벗고 형 몸에 지느러미가 없다는 걸 보여 줄 거예요? 그사람 면전에 대고 형이 생각하는 걸 말해 줄 거예요? 말할 테면 한 번 말해봐요!”
형은 침묵했고 에두아르트는 계속해서 말했다.
“형이 그 미친 사람한테 순수한 진실만을, 형이 그 사람을 보고 느낀 것만을 이야기한다면, 형은 결국 미친 사람과 진지한 대화를 하는 꼴이 되고 말고 결국에는 형도 미칠 거예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도 다 마찬가지예요. 내가 그녀의 면전에 대고 옹고집쟁이처럼 진실을 말했다며, 그건 내가 그녀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인 꼴이 되고 마는 거예요. 그러나 그처럼 진지하지 않은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스스로 진지하지 않게 되는 걸 뜻하지요. 형, 나는 이 모든 미치광이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또 그들 중의 하나가 되지 않으려면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