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꽃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도 그렇지만 이전에도 이 좁은 땅덩이에서 사람들은 발목이 아픈 참새처럼 살았다


방금 화장실에 다녀오며 한 생각이다.


직장을 다니며 느낀 것도 모두 다 발목이 아픈 참새들처럼 산다는 것이었다고


이제는 결론 지을 수 있을 것 같다.


미움은 부질없고 어차피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자신의 존재는 어쩔 수 없이


땅에 발을 딛지만, 가끔 우연한 기쁨으로 인생이 황홀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땅에 서면 발목이 아픈...


 


만일 나에게 정치적인 어떤 주의를 택하라고 한다면


아마 나는 무정부주의를 택할 것 같다


원시시대로 돌아가 그저 배고프면 열매 따먹고 사는 생활은 괜찮지 않을까


사회에 나오며 세금에 시달려서 이런 결론을 얻은 것은 아니다


누군가의 이익이 굳이 앞장서는 사회, 잘 포장된 말로 누군가를 꼬득이고


힘으로 제압하는 그런 자본주의의 욕망들, 게다가 그 욕망을 정의로 포장하는 그것이 지겨워서


더욱 그런 것 같다


 


김영하의 '검은 꽃'은 제국주의 시대 우리나라가 일본에 주권을 빼앗길 무렵


멕시코로 떠난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주권이 빼앗긴 시대의 설움을 약소국가의 국민으로 태어나 우리가 다짐해야할 바를 적은


소설은 아니다


아주 특이한 이력의 사람들의 이야기, 그 시대에 외국으로 그것도


미국이나 일본이나 중국도 아닌 멕시코라는


라틴 아메리카, 혁명이 자주 일어나는 아주 더운 나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


는 매력적이다


막 근대로 들어설 무렵이라는 시대성과 국가의 주권을 빼앗긴 특이한 상황 속에서


김영하는 멕시코로 이민 간 우리 나라 사람들 이야기를 썼다


그들은 그곳에서도 핍박받고 어렵게, 발목 아픈 참새들처럼 산다


에네켄을 수확하는 노동자로, 도시에서 남의 나라 혁명에 참여하는 군인으로,


밀림으로 장소는 옮겨가며


점차 죽음으로 향해가는


얼핏 체게바라가 생각났다가, 얼핏 라틴 아메리카 소설의 환상성이 생각났다가


그러는 것은 나의 무식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장소의 광활함, 시대의 독특함은 소설의 스케일을 아주


커다랗게, 마치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 이야기처럼 만든다


그곳에서 사건을 겪는 인물들은 세 글자 이름을 가진 한국인이지만


마치 다른 곳 같은,


소설만의 매력을 한껏 뿜으며


 


뭐가 뭔지 잘 몰라서 횡설수설이다


좀 더 공부하고 다시 생각해볼까


내가 과연


어쨌든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