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이라니, 선영아 ㅣ 작가정신 소설향 18
김연수 지음 / 작가정신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씨가 책 머리에 써놓았다.
나에게도 팬이 있다면 이 책은 팬을 위한 책이라고
나는 그의 팬이기에 이 책을 읽었다.
제목부터 그다지 기대를 하지 않게 만드는 책, 왠지 자본주의 사회로의 안전한 착지를 원하는 듯한 책, 허나 나는 김연수의 팬이므로
사실, 그는 이제 재간꾼이 되었다.
말을 능숙하게 다루며, 이전부터 심심찮게 보이던 낯선 우리 말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있고 그것을 활용해 이야기를 꾸민다.
그의 재간이 무르익었음을 알려주는 책이랄까
사랑은 소품이 아니지만, 사랑 얘기는 소품이 되기 싶다.
사랑은 이 세상 대부분의 이가 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젠 반복되는 노래테잎처럼 사랑 이야기는 술안주가 되고, 지겨운 것이 되고....
그래도 또 듣고 들어 나이가 들면 늘어져버리는...
사랑의 환상은 어디 존재할까
마음 깊은 곳에 라는 쉬운 답에도 불구하고 왜 그리 많은 이야기 있을까
책 이야기를 해야겠다.
세 사람, 아주 뻔한 세사람, 조금 많이 다르고, 또 비슷한 세 사람이 각자 사랑(가슴 찡하고 아프거나 독특한 사랑이 아니라, 아주 익숙한 이야기인 것 같은 사랑)을 말한다. 누구에겐 사랑이 only 이지만, 누구에겐 feeling이어서 벌어지는 헤프닝... 꺾인 꽃 한 송이로 인해 벌어지는 헤프닝... 작가의 사랑 담론은 들어볼 만한다. 다 알고 있는 얘기라도 정의하는 말들은 왠지 귀담아 듣는 것은 나의 몹쓸 버릇일지도 모르지만....
-꽃에는 입술이 없지만 자신을 바라보라고 말한다. 사랑에는 혀가 없지만 네가 누구인지 먼저 알아내라고 종용한다. 사랑을 통해 우리는 저마다 위대한 개인으로 자란다. 거울에 비친 그 위대한 개인을 사랑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을 향해 단호한 어조로 "사랑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지구에서 얼마나 멀리까지 갈 수 있느냐는 미 우주항공국의 업무이지만, 우리가 얼마나 깊이 사랑할 수 있느냐는 스스로 대답할 문제다. 그건 우리가 얼마나 자신에 대해 깊이 알고 있느냐, 혹은 우리가 얼마나 자신을 깊이 사랑하느냐에 달린 문제다. 사랑은 우리의 평생 교육 기관이다.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성인 인증을 거쳐야만 입학할 수 있는 성인들의 학교다.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낼 때까지 우리는 계속 낙재할 수밖에 없다. 죽는 순간까지도 우리는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내지 못할 테니, 결국 우리가 그 학교에서 졸업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다시 한 번, "사랑해"라고 말한다는 건 자신을 먼저 사랑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만 '진실로 연애다운 사랑'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