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앞머리에 이렇게 써있다.
눈이 있으면, 보라. 볼 수 있으면, 관찰하라.

어떤 책을 보면 살아야겠다는 의지가 생긴다. 나를 내 것으로 해서 살아야겠다는 의지, 어떤 힘에 좌지우지 되지 않고, 내가 원하는 것을 해야 겠다는 의지, 이번 책 역시 그렇다. 어떤 물리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는다는 것, 심리적 압박을 무위로 만든다는 것의 중요성.

어느날 갑작스레 찾아온 백색 실명의 전염병, 원인도 없고 치료법도 없이 도시 전체를 뒤덮는 백색 실명 속에 단 한 사람만이 눈이 보인다. 의사 남편을 따라 눈먼 사람들의 수용소에 들어가는 의사의 아내, 모두 눈이 멀 것이라는 두려움에 잠식당해 있으나, 그녀는 그녀가 할 일을 한다. 냉혹하고, 잔인하고, 준엄한 장님들의 왕국에서 유일하게 앞이 보이는 그녀는 눈먼 자들의 왕국의 추잡한 모습의 유일한 목격자가 되는 것이다.
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즉 소유의 개념 자체가 사라진다는 말이다. 어떤 비싼 옷도, 아름다운 모습도 볼 수 없으므로 가치가 없다. 단지 소리만이 살아서 윙윙댈 뿐. 그 원시 상태에서 인간들은 먹을 것을 위해 집단적으로 돌아다니고, 싸우고, 죽고, 배변한다. 시체는 거리에 널브러져 있고, 악취는 온 도시를 점령한다.
수용소 안은 더 하다. 지배와 피지배의 엄청난 소용돌이는 거의 구역질이 날 뻔했다. 그러나 만일 내가 이 상황에 닥친다면 나 역시 별로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 가장 끔찍했다. 결국 나 역시 이와 같은 모습으로 더럽게 돌아다니며 눈이 먼 것을 두려워하고 비관할 것이며, 욕심에 사로잡혀 먹을 것을 숨기고, 타인을 미워하고... 등등등... 허울 좋은 가면을 버린 모습. 마치 거울을 보고 있는 듯해 괴로운 책이었다.
환상같은 신화같은 책이다.
실명은 있으되 실명한 사람은 없는 상태,
과연 누가 얼마나 눈으로 제대로 보고 있을까.
질문...만 있고 답변은 없는 상태.

 

-우리는 눈이 머는 순간 이미 눈이 멀어 있었소. 두려움 때문에 눈이 먼 거지. 그리고 두려움 때문에 우리는 계속 눈이 멀어 있을 것이고. 지금 말하는 사람은 누굽니까. 의사가 물었다. 눈먼 사람이요, 여기에는 그런 사람밖에 없으니까.

-그녀는 또 그 생각이 전부터 이미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말만 빠져 있었을 뿐인데, 이제 그 말이 찾아온 것이다.

-답이란 필요하다고 해서 꼭 나타나는 것은 아니니까. 유일한 답은 답을 기다려보는 경우일 때가 많다.

-우리가 이루어낼 수 있는 유일한 기적은 계속 살아가는 거예요, 여자가 말을 이었다. 매일매일 연약한 삶을 보존해 가는 거예요, 삶은 눈이 멀어 어디로 갈지 모르는 연약하니까, 어쩌면 진짜 그런 건지도 몰라요, 어쩌면 삶은 진짜 어디로 갈지 모르는 건지도 몰라요. 삶은 우리에게 지능을 준 뒤에 자신을 우리 손에 맡겨버렸어요. 그런데 지금 이것이 우리가 그 삶으로 이루어놓은 것이에요.

-다른 사람들과 사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거지.

-사람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미리 알 수 없는 거예요, 기다려봐야 해요, 시간을 줘봐야 해요, 세상을 다스리는 것은 시간이예요, 시간은 도박판에서 우리 맞은 편에 앉아있는 상대예요, 그런데 혼자 손에 모든 카드를 쥐고 있어요, 우리는 삶에서 이길 수 있는 카드들이 어떤 것인지 추측할 수밖에 없죠, 그게 우리 인생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