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자신만의 연약함과 강함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영영 숨어서 쫓아갈 수 없는 것들로 희미하지만. 나의 연약함이 때로 누군가를 상처 입히고 나의 강함 쪽으로 끌어오며. 누군가는 그 길목에서 원을 그리다 길을 잃기도 했다. 그런 사람들을 모두 불러들여 파티를 하는 밤도 있지만, 그것은 마치 죽은 자를 위한 다시 한 번의 장례식처럼 살아있는 자들을 위한 것이다.

상실의 시대는 잃어버린 것들이 영영 거기서 나를 불러서 자꾸만 뒤돌아보게 됨에 대한 고백 같은 소설이다. 그런데 그 잃어버린 것들은 완전히 텅 빈 구멍. 거기 빠지면 그러니까 거기로 스며들면, 점점 흡수되어 버릴지도 몰라라는 불안감과 그럼에도 그것들을 놓아버릴 수는 없다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 누구나 그렇듯 자신만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 스며들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혹은 조심스럽게 살고 있다.

십대에 교복을 입고 방바닥에 엎드려 이 책을 다 봤었다. 막 해가 질 무렵이었던 것 같다. 중학교 때였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이 책을 두 번 더 봤다. 역시 십대였다. 그리고 사이사이 현정이란 아이를 다섯 명 알게 됐으며, 어느 현정이가 이 책을 줬을까 책 간지에 써진 편지를 읽고 한동안 생각했다. 시간은 그만큼 지나갔다. 그 아이가 편지를 쓴 날 나는 학교에 가지 않았고(무슨 이유인지 알 수 없지만) 그녀는 나를 질책하지만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영영 돌아갈 수 없는 날이다.

이제 나는 이 책의 주인공들보다 나이를 먹었다. 친한 친구가 상실의 시대를 읽어보는 건 어떠냐고 했다.

그리고 일 년쯤 지난 오늘, 또 다른 친한 친구를 만나 그녀의 남편의 직장 생활 이야기를 하며 결국 이 소설에 나온 말을 꺼냈다. 세계의 97%는 쓰레기야, 라고. 하지만 그 97%도 분명 아이가 있고 아내고 있고 남편이 있고 부모도 있다. 이것은 거의 불합리의 수준. 때때로 나도 쓰레기임을 느끼며 역시 불합리. 그래서? 죽을 수는 없잖아, 라는 이상한 결론으로의 도약마저.

그리고 이 책에서 기억했던 문장은 자기 자신을 동정하지 말 것과

그러나 어쨌든 계속 살아가야만 한다.

죽음은 삶의 대극으로서가 아니라 삶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물론 앞 문장이 더 기억에 생생했다.

자신을 동정하지 않는 것은 지독하게 힘든 일이다.

“누구나 자기 연민을 가질 수밖에 없어. 객관적으로 자신을 본다면 죽지 않고 살 수 없다구.”

친구와 나는 그런 말을 하며 거리를 걸었다.

그러나

때때로 온몸에 보이지 않는 거미줄을 칭칭 감고 있는 것 같다. 인간으로 태어나,

비가 내리고 오늘은 하루 종일 안개가 낀 듯 막막한 날씨

어쨌든 계절은 지나가고

어쨌든 죽지 않고 잘 살아 10대를 마치고 20대도 곧 마칠 것 같다. 이런 기기묘묘한 일이 일어나 30대까지 살아간다. 아니. 사실 머릿속에는 시간이란 게 뒤죽박죽 얽혀있지만. 어쨌든 발바닥은 그렇다. 그리고

나오코가 끊임없이 말을 했었던 밤의 BGM, 빌 에반스의 음악을 들었는데, 이런 음악을 며칠간 계속 듣다간 머리가 돌아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그런 생각을 했다. 머릿속의 나사를 풀어서 그 나사로 공기놀이를 하는 기분.

우선은 살아 있으니 삶을 궁구할 수밖에 없다. 사람들은 떠나거나 내가 남거나 어쨌든 바닥에 주저앉아 엉엉 울고 있을 수만은 없는 것이다. 되는 대로 할 수 있는 만큼은 삶을 궁구하는 수밖에 없다. 때때로 자신의 비겁함에 치를 떨며, 들러붙은 거미줄과 발아래 구멍들을 보면서도. (대한민국의 성공한 젊은 작가들 중 하루키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이는 없다는 말도 맞다.) 결국 상실의 시대도 그렇게 끝이 난다.

상실의 시대를 읽으며 딱 한 번 웃었는데 미도리가 너무 싸구려로 팔려간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그런 말을 할 때였다.

에우리피데스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그의 연극의 특징은, 모든 사람들이 엉망으로 혼란에 빠져서 옴짝달싹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점입니다. 아시겠어요?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나오는데, 그들은 각기 제나름의 사정과 이유와 주장이 있고, 또 모두들 나름대로 정의와 행복을 추구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리고 그 덕분에 모든 사람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지경에 이르고 마는 거죠.”

에우리피데스가 이런 이야기구나, 이렇게 간략하게 정리해주다니, 그런데 이 이야기를 죽어가는 남자 앞에서 하고 있었다. 어쨌든 에우리피데스 극에서처럼, 신이 나타나도 그만, 안 나타나도 어쩔 수 없잖아. (그러느니 한번 믿어보라고 했던 건 팡세를 쓴 그 사람인가? 아니면 누군가 아주 어설프게 말하자면 그런 말을 하긴 했는데.) 죽음 직전에 대고 그런 이야기를 한다는 건 대단히 괜찮은 설정이란 생각이 든다.

나오코라는 연약하고 상처 입은 영혼이 갇힌 아미료와 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세계, 사이 사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