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여는 집
방현석 지음 / 창비 / 199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현석 선생님의 소설은 노동자들의 삶과 투쟁에 대한 내용이다.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해 공장의 자본가들과 대립하고 그 대립의 과정에서 벌어지는 어려운 상황들을 다루고 있다. 투쟁의 과정에서 대립된 두 계급의 문제만이 아닌, 함께 투쟁하지만 처음의 생각과는 다르게 그 과정에서 지치게 되면서 발생하는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처음 소설을 펼쳐들었을 때, 내게 '투쟁'이란 단어에서 풍겨오는 낯설음, 이질감 같은 것들이 없었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이다.

어제 처음으로 서울시청 앞에서 효순이와 미선이의 한을 풀어주고 SOFA를 개선하자는 내용의 집회에 갔었다. 텔레비전에서 보도되던 짤막한 내용의 기사가 아닌 직접 현장에서 많은 사람들(어떤 특정 집단이 아닌 나이와 직업이 다양한)과 함께 노래 부르고 투쟁을 외치고 함께 뛰었다. 너무 사람이 많아서 뒤를 돌아봐도 인파가 끝이 없었다. 대학에 오고 3년만에 친구들에게 말로만 듣던 집회에 참석한 것이다. 그리고 내가 살아왔던 방식이 얼마나 이기적인가에 대해서 회의를 느꼈다. 내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나는 너무나 무관심했던 것은 아닌가, 이기주의를 개인주의라는 말 아래 그럴싸하게 포장하려 했던 것은 아닌가, 자문해보고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다. 방현석 선생님의 소설은 이와 같은 집단의 문제에 대해(물론 그 내용은 다르지만) 고민하고 있다.

이번 미선이와 효순이의 사건이 있기 전에는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자신의 눈 앞에 닥친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타인의 문제, 내가 속해있지만 익숙해져버려 더 이상 의식되지 않는 집단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지 않았다. 물론 나역시도 그랬다. 그래서 내게 방현석 선생님의 소설과 광화문 집회는 같은 맥락에서 나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질문하는 것으로 다가온 것이다. 광화문 쪽으로 친구의 손을 잡고 뛰며 내가 타인을 위해 내 다리에 힘을 주어본 적이 있는가, 크게 나의 목소리를 내본 적이 있는가 질문했고 방현석 선생님의 소설을 보며 쉽게 지나간 과거로 한 시대를 치부한다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생각인가를 느꼈다. 아직도 이 곳에는 가난하고 못 배워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힘겨운 사람들이 많지만 그들은 더 이상 소설의 주인공이 되지 못한다.

아무도 관심 갖지 않는 곳에서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생존투쟁이 되어버린 이들, 꼭 문학이나 예술이 그러한 틀안에 갇혀서 고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의식은 깨어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세계에 부합하지 않는 여러 삶의 모습들에 대해 현실적으로 치열하게 부딪혀야 하는 것은 아닐까. 방현석 선생님의 소설이 단지 대립되는 계급 관계를 그린 것이 아니라, 그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문제를 그렸다는 것은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이다. 또한 그 문제가 극복되는 양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극복을 위해 자신의 의지를 다지는 인간의 모습을 그렸다는 것이 더욱 매력적이었다. 그것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이고 생각해야 할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