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 전집 5
프란츠 카프카 지음, 오용록 옮김 / 솔출판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카프카의 작품은 이번으로 두 번째 접한다. 그러나 카프카라는 이름은 내가 그의 작품을 몇 권이나 접했는가와는 상관없이 나에게 친숙하게 다가오는데, 아마도 그의 이름을 대할 기회가 많아서가 아닐까 싶다. 아마 카프카는 현대문학에 있어서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작가일 것이다. 그래서 카프카에 대한 문헌이 그리도 난무하며 그의 작품을 읽지 않은 사람조차도 그의 이름을 쉽게 부를 수 있는 게 아닐까. '성'은 몽롱하다. '성'을 읽기 전에는 이 작품이 한 성에서 벌어지는 사건이 아닐까 싶었지만, 결국 카프카의 작품 전체의 분위기처럼 이 '성'이란 장소는 작품 내에서 정확히 그 정체를 드러내지 않으며 'K'는 결국 '성'에 가지 못한 채 작품은 미완으로 끝이 나고 있다.

그렇다면 미완의 작품이 이다지도 유명세를 띠며 전세계적으로 문학인들에게 거론되는 이유는 뭘까(내가 이작품을 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쿤데라의 '소설의 기술'에서의 격찬때문이었다). 그것은 바로 '성'의 꿈과 같은 비현실적인, 결코 그 존재를 전면으로 드러내지 않는 몽롱함에 있지 않을까. 닿을 듯 닿을 듯 닿지 않는 곳, 보여줄 듯 보여줄 듯 보이지 않는 곳- 그것이 바로 인간의 생이라는 것을 카프카는 일찍이 깨달았던 것 같다. 우리는 실제적으로 이 생을 살아가며 우리가 매우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상황 속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지만, 결코 우리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자신의 시각안에서이며 '나'는 결코 '나' 이외의 무엇도 될 수가 없다. 많은 타인을 접하며 우리는 이 생을 살아가고 그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나의 일부로 받아들이지만, 우리는 '나'이외의 무엇도 낯설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 '나' 또한 얼마나 미완성이 존재인가는 말할 나위도없다.

카프카는 이 사실을 직시하고 있고, 'K'를 전혀 낯선 한 마을에 위치시킴으로써 그 사실을 독자에게 상기시킨다. 'K'의 유일한 목적인 '성'과 '클람'(이 목적성 역시 매우 납득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K'에게는 그것이 주 당면 과제로써 느껴질수밖에 없는)을 'K'는 번번히 자신의 성향으로 인해 놓치고 마는 것이다. 여기서 보여지는 존재의 부당함, 절대성에 대한 인간의 끝없는 무지와 노정을 우리는 엿보게 된다. 카프카의 '성'을 통해 나는 우리가 그토록 현실적이며 논리적이라 믿고 싶어하는 우리의 삶의 비현실성을 목도하게 되었고, 이에 경악하게 되었으며 서글프게도 자신이 '나' 이외의 무엇도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