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말 블루스 창비시선 149
신현림 지음 / 창비 / 199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현림, <세기말 블루스>

신현림의 시는 당차다. 신현림은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돌려서 어렵게 포장하지 않는다. 또한 위악이나 위선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고정하지도 않는다. 신현림은 분명한 여성이고 시인이지만 자신이 그 틀안에 갇히기를 거부한다. 단지 그녀는 시인으로 있고자 한다. 그밖에도 신현림은 이 세상에서 싸워나가야 할 많은 것들을 노려보고자 한다. 그것들과 거짓 화해하거나 굽히고자 하지 않는다. 이것은 시인으로써 가장 정직하게 세상을 살아나가고자 하는 몸짓이라 할 수 있다.

'삶이란 자신을 망치는 것과 싸우는 일이다' 라는 구절로 시작되는 「나의 싸움」은 신현림 시집 전체 중에서 가장 의미심장하다 할 수 있다. 삶을 고통으로 느끼는 순간에 대해 신현림은 그 순간을 은폐하지 않는다. 그 순간을 까발리고 그 슬픔을 어떻게 품을 것인가를 담대하게 고민한다. 신현림의 이와 같은 대담함은 그녀의 시와 제목에 자주 노출되는 직설화법을 통해서 표출된다.

남자, 여자 여자는 도대체 뭐지?
여자에겐 스스로 원하지 않는 한
안전한 곳이란 없는지 모른다
아무도 모른다 아무도 모른다
한접시 여자의 불안한 생수가 아니되고는
짓밟혀보지 않고는 모른다
-「안나 이야기」 中

그래도 날 여류시인이라 부르진 마
여류가 뭐야? 이쑤시개야, 악세사리야?
여류는 화류란 말의 사촌 같으니
여자라는 울타리에 가두지 마 폄하하지 마
-「나의 시」 中

이처럼 확실하게 자신의 입장을 시에서 표현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오백원 대학생」, 「나의 이십대」에서 보이는 그녀의 과거 회상 역시 그 솔직함을 담보로 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솔직함을 통해 그녀가 시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의 욕망과 쓸쓸함을
솔직하게 비춰내고자
괴로움을 넘고자 내 노래는 출렁인다
거침없이 일렁이며 흘러가고자'
-「나의 시」中

그녀의 인간적인 포부는 '사람'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그녀는 이 세상이 춥고 무섭고 사랑이라는 것 역시 '조만간 망가지'게 될 무엇일지도 모르지만, 그러나 그것들을 그렇게 놓아두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것이 신현림의 시를 쓰게 하는 힘이며 그녀의 시를 살아있게 하는 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