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구멍 속의 폭풍 문학과지성 시인선 151
김기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마다 각자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는 진실이겠지만, 김기택의 시집은 유난히도 그 개성이 돋보인다. 김기택의 시는 지금까지 읽어왔던 시들과는 다르게 차갑고 무뚝뚝하다. 또한 여리다. 이와 같은 상충되는 표현은 김기택의 시가 아니면 쉽게 어울릴 수 없는 개성이 된다. 김기택 시의 정밀묘사와 같은 세부에 대한 언어를 통한 접근은 그의 시를 차갑게 한다. 메스를 드리댄 듯한, 감정이 절제된 접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세부에 대한 묘사는 또한 시인의 귀가 작은 것을 향해 열려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시집 속에서는 청각적 이미지를 동원한 시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시인의 예민한 감각을 동원한 것이다.

'문고리는 다시 즐거운 소리를 내며 녹이 슬기 시작하고 깎아내버린 사과 껍질에서는 당분이 썩는 소리가 야금야금 들리기 시작한다.'(「먼지의 음악」중)

'바람 소리 물소리 새소리 숨소리……/ 바람 소리 속에 숨어 있는 갖가지 떨리는 소리 스치는 소리/ 물소리 속에서 녹고 섞이고 씻기는 소리/ 온갖 깃털과 관절들 잎과 뿌리들이 음계와 음계 사이에서/ 서로 몸 비비며 움직이는 소리를 보게 될 것입니다'(「고요하다는 것」중)

이처럼 김기택은 우리가 볼 수 없기에 운동을 멈추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운동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고요하다는 것」을 조금 더 인용해보자면 '이 모든 소리와 움직임은 너무 촘촘해서/ 현미경 밖에서는 그저 한 덩이 커다란 돌처럼 보이겠지요'라고 시인은 말한다.

김기택의 눈은 마치 현미경처럼 사물을 꿰뚫으려 한다. 이와 같은 사물에 대한 치밀한 접근 역시 눈여겨볼 사항이다. 대부분의 서정시들이 인간의 정신에 더 깊이 있게 천착하려 하는데 반해 김기택은 사물, 육체를 통해 인간과 현상을 관찰한다. 이와 같은 관찰이 겉핥기 식이 아니라는 것은 앞에서도 말한 바 있을 것이다. 「사진 속의 한 아프리카 아이Ⅰ」에서 아이는 '가는 뼈의 깃대를 붙잡고 나부끼는/ 검은 살갗'이다. 아이는 마른 몸으로 자신의 머리통과 같은 '텅 빈 그릇 하나'를 내려다보고 있다. 김기택은 그 안타까운 풍경 속으로 접근해가는 언어조차 사물을 택함으로 해서 차갑고 무뚝뚝하게 자신의 감각을 열어젖힌다. 그러나 그의 시에서 이와 같은 특징이 돋보이는 이유는 그의 절제된 감정이 이러한 표현과 어우러져 이룩하는 표정 때문이다. 버스에서 졸고 있는 사람을 묘사한 「졸음」에서 마지막 행을 주목해보자.

'버스 바닥에 굴러가는 슬픈 무게 한 덩어리'

무게가 되었다 머리가 되는 졸고있는 사람의 동작에서 시인은 조심스럽게 '슬프다'는 시인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 지금까지의 무뚝뚝하던 그의 시는 이 순간 묵직한 언어로 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정적 표출은 「병」에서 조금 더 나타나는데 시에서 '마음'은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단어이다. 실재하는 것을 통해 시적 발화를 하는 시인이 '마음'을 나타내는 것 역시 몸, 육체에 병이 난 상태에서(약해진) 이다. 이처럼 약하고 여린 것을 시인은 자꾸만 주목한다. 작은 것들이 얼마나 묵직한가를 시인은 끊임없이 주목하고 그것을 더 작게 축소함으로 해서 시인은 어지러운 세계를 이해하는 열쇠를 얻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