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세계문학총서 6
밀란 쿤데라 지음, 김규진 옮김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1995년 8월
평점 :
절판
고등학생 때와는 또 다르게 이 책을 봤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베스트극장에서 심혜진(외로움에 치를 떠는 여인으로 나옴)이 보던 책이라는 인상이 내겐 가장 강했던 그때, 지금도 그 인상은 변함이 없다
그러나 이 책은 그보다는 훨씬 정치적이다. 밀란 쿤데라는 사회라는 틀과 떼어내서 생각할 수 없는 작가이다. 물론 그는 그것을 거부한다고 하지만, 그의 환경(체코라는 독특한 역사를 가진 나라에서 추방당한 지식인)은 결코 그의 글을 가만 놔두지 못 한다.
쿤데라가 스스로 자신은 아마 이런 종류의 글밖에 쓸 수 없으리라 말했던 것처럼, 그는 자신이 겪어온 사회주의의 씁쓸한 실패 앞에서의 자신의 강한 인상과 그의 지식을 동원해 글을 쓴다. 따라서 책은 니체의 철학(영원반복)이라던가 파르메니데스(가벼움과 무거움)의 철학을 동원해 이야기의 중심을 잡는다. 그 이외에도 스탈린 아들의 죽음(권력과 똥의 우스운 은유들)등과 같은 그의 지식은 이 책에서 결코 빠질 수 없는 매력.
또한 프란츠, 테레사, 사비나 등의 시선에서 각각의 장마다 중심이 다르게 진술됨에 따라 각각의 인물들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인간과 인간 사이의 오해의 우스꽝스럽고 서글픈 비화를 체험하게 된다.
모든 반대되는 개념들, 강함과 약함 사이, 무거움과 가벼움 사이 등 우리는 그 어떤 것을 긍정하고 부정할 수 있을까 그 사이를 오가는 작가의 끊임없는 질문 앞에 무장해제 당하며 책장을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