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I
아트 슈피겔만 지음, 권희종 외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199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 이런 말을 듣곤 한다. 아우슈비츠 이후의 인간은 어쩌고... 아우슈비츠가 유태인들을 잔인하게 학살한 곳이라는 매우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나로서는 그것이 얼마나 커다란 여파를 미쳤는지 알 수 없었다.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를 기억하고 있지만, 그 영화는 부성애에 대한 영화이기 때문에 지금 기억나는 건 단지 마지막 장면이다. 그리고 그때 느꼈던 감동.

'쥐'는 아우슈비츠가 주요 테마다. 아니 아우슈비츠와 인간이라는 표현이 더 맞다. 인간의 잔인성, 말로는 많이 듣게 된다. 인간에게는 폭력적 본성이 있다. 그것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다. 뭐, 이런 식의 말들... 그러나 '쥐'는 그 폭력 앞에 대처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 아티의 아버지는 인간에게 가해지는 이유없는 폭력(그의 인종은 타당한 논리적 이유가 아니다)의 희생자이며 거기서 살아남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런 아버지와 자신 사이의 한없는 거리감이 이 만화이다. 과연 인간은 얼마나 속수무책의 상황 앞에서 얼마나 한계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몸부림치는가, 그리고 그 몸부림은 한계상황 이후 그것의 극복 이후에도 자신의 몸에 각인되어 결코 지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특히 가스실이라던가, 그 안에서의 몇몇 상세한 묘사들은 아티의 아버지를 이해하게 만들기도 했으며, 결국 아티까지도 그 아래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은 인간의 무서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우리는 인간이 선하다고만 속고 살 수는 없다는 것. 사실 그렇게 순진하게 살기엔 인간은 훨씬 더 복잡하고 두려운 동물일지도 모른다는 것. 그와 같은 역사를 마지막까지 덮어보려 포로들을 죽이는 독일군들의 모습 또한 대단히 인상깊었다.

만화라는 것은 확실히 이 작품에서 장점으로 작용한다. 매우 어둡고 암울한 이야기일 가능성이 있는데 그 가능성을 매체가 어느정도 해소해주기 때문이다. 처음에 책을 펼쳐보면 우와 너무 글씨가 빽빽하네 싶지만 매우 쉬운 대화체이므로 읽는데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 아쉬움이 남는다면 거친 그림체에 적응하지 못해 그림을 제대로 음미하지 못했다는 것. 아트 슈피겔만이란 작가의 특성을 조금 먼저 알고 읽었더라면 훨씬 더 만화의 특성을 살려 이 책을 볼 수 있었을 것 같다. 당신은 그림도 꼭 눈여겨 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