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ㅣ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병철 옮김 / 범우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가 다 그런지 모르지만 나는 고전에 대한 막막함을 안고 있는 사람이다. 고전을 몇 권 읽고 딱히 재미가 없었다는 기억이 있는 것도 아닌데 고전을 집어들면 말 그대로 고전(^^)할 것이라는 예감이 먼저 드는 것이다. 그래서 헤밍웨이의 그 유명한 소설 <노인과 바다>도 나는 아직 읽어보지 못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그것은 영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의 잉그리트 버그만 때문이었다. 희대의 미인 잉그리트 버그만의 영화를 찾으러 비디오 가게를 돌아다녔지만 너무 오래된 영화라며 없는 통에 결국은 책을 잡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때는 너무 어렸다. 지금 기억하기로는 중학생 무렵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나는 마리아와 조던이 만나는 장면도 보지 못하고 책을 덮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대학생이 되서 우연히 다시 읽게 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그때와는 달랐다. 아직도 나는 고전이라면 약간은 터부시하고 마는 경향이 있어서 커다란 결심을 하고 집어든 책이었는데(선생님들이 제발 고전 좀 읽으라고 법석을 하셨는데 도서관에 이 책이 가장 먼저 눈 앞에 있었던 것이다) 그때처럼 처음부분은 조금 힘이 들었다.
그러나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이 책을 초반부에서 어찌 평가할 수 있겠는가, 싶어 계속 읽어내려갔다.
그리고 발견한 것은 헤밍웨이가 참 소설을 잘 쓴다는 것이었다. 단 사흘만의 일을 어쩜 이렇게 길게 써나갈 수 있는가, 나는 그에게 경의를 표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방대한 분량을 순환구조를 통해 모두 드러낸다면 당연히 지루할 것이다. 그래서 헤밍웨이는 이 작품에서 여러가지 기법을 도입해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고 있다. 또한 그 시간과 공간 속에 짜여진 인물들(굳이 주인공 뿐만이 아니라 해도)이 마치 그의 인생역정을 모두 돌아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은 정말 이 소설을 재밌게 한다.
이 책은 물론 휴머니즘에 입각하여 쓰여졌으며 따라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바로 당신을 위해서가 된다. 그러나 이것은 당연한만큼, 분명한 답이기도 하다. 헤밍웨이가 묘사한 사실적인 전쟁의 참상들이 그 안에서 싸워나가는 많은 사람들의 죽음이 누구를 위하여 벌어진 일이겠는가? 적군과 아군에 대한 편파적 시선을 던지기보다는 헤밍웨이는 끝까지 이러한 전인류애적 입장을 견지하며 그 입장은 감동을 준다.
소설은 주제이기도 하지만 기법이기도 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