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지와 겐이치로 세트 - 전2권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양윤옥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A. 

노인 문제를 다루는가 하면 세계가 망해가는 모양새에 대해서 자기 멋대로 상상하거나 해석하거나 하는가 하면 젊은이들의 세계, 혼자인 사람들의 세계 같은 것을 그린다. 게다가 AV 찍는 회사에서 일하는 남자가 어떻게 배우를 만나게 되는가(정말 젊은이의 시선이다)하면 원조교제를 하는 여자애를 다루기도 한다. 그런데 그게 너무 천연덕스럽다. 전혀 “이게 진짜야, 내가 말해줄게” 이런 느낌이 아니다. “그냥 그런 거지, 뭐.” 이런 느낌이다. 코끼리를 기르는 오츠베르가 코끼리를 기르는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가에 대해서도 길게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코끼리를 받기 위해 네트워크에 대해 애완동물 가게 점원과 하는 대화가 훨씬 길다. 그런가 하면 아사로 죽어가길 택한 여자애는 마지막으로 남자친구에게 “나 사랑해?”라고 묻는다. 미야자와 겐지의 「주문 많은 요리점」은 AV 배우를 섭외하는 남자 이야기가 되고 「구스코부도리의 전기」는 책과 인간에 대한 다른 종의 상념이 뒤범벅된 이야기가 된다. 불경을 외는 아톰이 나오고 고양이 사무소에 나가 연필을 깎는 일을 하는 무직 시대의 인간이 나온다. 그런 이야기들 어딘가에서는 소외의 극지점을 찌른다. 거기 그 극지점에 혼자 서있는 것 같은 기분이다. 단어의 의미는 모두 빠져나가고 소외소외 해봐도 ‘그래서 뭐?’라는 기분밖에 안 남은 현대성의 한 지점을 이런 식으로 매만질 수도 있다니. 슬픔을 강요하지 않는 것은 미덕인가 보다.

종종 친구들과 만나 점점 세상이 망해간다는 이야기를 한다. 늙어버려서 그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인류는 실패라도 다음 인류는 뭔가를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아련하고 절박할지도 모를 그런 의문이 고개를 쳐들 때가 있다. 이 소설책은 종종 그런 기분을 느끼게 한다. 자기가 누군지도 모르고 인간이 누군지도 모르고 결국 아무것도 아는 게 없는 이 이상한 동물이 이 생에는 실패한 것 같은데 다음 인류는 좀 더 나아질까 하는 그런 질문 같은 것이 맴돈다.

그럼에도 모든 소설은 쿨하다. 전달하려는 느낌에 충실하며 단지 그럴 뿐이야다. 그래서 어쩌라고 같은 것은 없다. 자연스럽다. 요새 내 뇌속엔 윤리에 대한 강요, 논리에 대한 강요가 가득한데 오랜만에 시원하다. 뇌가 따라가지 않아도 된다. 게다가 동화도 한 편 있는데(「수선월의 4월」) 그 동화는 아름답다. 결국 자아와 죽음, 삶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담고 있는 동화인데 눈이 내리는 설원을 배경으로 해서인지 어딘가 기묘하게 아름답다. 
 

 

 

B. 

 

즐기고 있는 건지 비판하자는 건지 그 지점조차 모호하다. 근데 그게 그렇게 매력적일 수가 없다. 실은 인간이란 게 그런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정도는 즐기고 어느 정도는 비판하며 산다. 그 지점이 실은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모호해지지만 어딘가 걱정스럽긴 하다. 그래서 쓸쓸해지기도 한다. 이게 사람이 살고 있는 모습이라니 하면서.

「영결의 아침」은 자기 이야기를 하는 낭독회(왕따라든가 실직 가장)의 한 단면

「돌배나무-크람본 살인사건」은 인터넷 채팅 사이트에서 일하는 직업남의 이야기+오래된 음식을 먹는 은둔형 외톨이 이야기

「바람의 마타사부로」는 성매매업소에서 일하는 남성들 이야기-세계는 페니스와 음문으로 이루어졌다는 해석

「봄과 아수라」-치매 노인+무관심한 가족들에 대한 기록

「푸리오신 해변」-성매매+각각의 인간과 각각의 사물의 꿈과 아름다움에 대한 사유

「가죽 트렁크」-내일 세상이 끝나라는 소리를 배경으로 딸과 아빠 사이의 대화-결국 세상은 미묘해라는...

「겐쥬 공원의 숲」-에로 게임에 빠진 초딩4학년 -엄마, 아빠, 형도 아이템이 되는 세계

「안방 동자 이야기」-말없는 아이의 친구 네로는 누구인가

「가돌프의 백합」-계속되는 꿈+밀실 살인 사건


다카하시 겐이치로는 기막힌 지점들을 발견해내는 능력이 있다. 그러니까, 「봄과 아수라」라는 미야자와 겐지의 시집 제목이 이런 소설로 태어날 수도 있다니, 어디에도 봄에 대해서도 아수라에 대해서도 쓰여져 있지 않지만 너무나도 어울린다. 이미지가 어울린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한 지점에서 만나는 걸까? 그런데 그 지점에서 태풍이 치고 있는 것처럼. 「가돌프의 백합」은 하루의 기억을 가진 남자에 대한 꿈이 계속되는 이야기인데, 깨어나도 꿈, 깨어나도 꿈인 이상한 세계를 밀실 살인 사건과 연결지어 놓았다. 이것이야말로 밀실인가, 싶다. 가끔, 이렇게 아무리 깨도 꿈인 이런 꿈을 꾼 날은 정말 지독하게 최악이다. 누구나 이런 꿈을 꾸는지 어떤지는 모르지만 나는 가끔 꾼다. 그리고 최악이다. 그런데 이렇게 쓸 수도 있다니. 어쨌든 한번 읽으면 눈을 뗄 수 없다. 거의 지하철에서 읽었는데 아무리 피곤해도 읽기 시작하면 계속 읽었다. 혼자 방에서 읽다가 엄청나게 웃었던 적도 있다. 소설이 아직도 이럴 수 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