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주민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규석을 알았던 게 언제 일까?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쥬』를 보고 재미있어 했던 게 5년 전 즈음인 것 같다. 만화가 이런 사회 고발 역할을 할 수도 있구나 라고 생각했었다. (어쩌면 지금 드는 생각인지도 모르지만.) 그리고는 잊고 지냈던 이름인데 웹을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보게 된 그 이름의 필모그래피에 어느새 만화책 몇 권이 더 따라붙어 있었다. 책 없기로 학생들 사이에서 소문이 자자한 우리 학교 도서관에 있는 것만 해도 세 권이니 그 사이 쉼없이 작업을 했구나 싶어 부럽기도 했다.

최규석 만화의 최고의 장점은 단연 솔직함이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얘기를 향해 바로 달려들어가는, 치장 없는 솔직함. 그리고 아마도 그 솔직함이 가장 빛을 발하는 작품이 『대한민국 원주민』이 아닐까 싶다. 자신의 과거를 꾸밈 없이 술술 풀어나가면서도 어떤 감정의 울림을 전하는 그의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이 부러웠다. 게다가 그가 그려낸 가족들의 현재 모습-마트를 하거나 학원 원장을 하는 누님들-은 어느 도시 여기저기서나 볼 수 있는 가장 평범한 인물들이었다. 이야기 속에서 인간이 사회의 부속품이나 원자로 취급되고, 나라는 주체 속에서 타인들이라는 존재가 점점 정체 불명으로 변해가는 요즘 시대여서인지 이런 부분이 더 빛이 나는 것 같았다.

『대한민국 원주민』 후기에 김혜리 기자가 말하기를 최규석은 궁상 맞지 않은 가난을 그려낸다고 했는데 정확한 표현이다. 가난에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자기 연민이 최규석 만화에는 전면화되지 않는다. 긍정이나 부정을 넘어서 있는 삶이라고 해야 할까. 실제로 긍정이나 부정이란 판단보다 삶은 늘 한 발자국 앞서 있다. 자기 긍정이나 부정 전에 삶이라는 것은 거칠고 투박하고 알 수 없는 미지인 채 영영 함께이므로.

대학 시절에는 제 2의 가족과도 같은 친구들과 매일 술 마시고 이야기를 나누며 지냈다. 서로의 상처를 이야기하고 보듬어 주고 결국 그것들이 상처나 붕대 같은 거추장스러운 것이 아니라 그냥 나라는 것을 받아들이도록 해주었고 그래서인지 이제와 가족 이야기를 한다거나 하는 게 왠지 궁상맞은 짓 같기도 해 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최규석 만화는 벗어나려 해도 벗어나지지 않는 그 삶의 뿌리를 더듬어 스케치하는 일이 가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주었다.

김혜리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최규석만의 그림체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대화를 보았다. 요근래 스타일에 대한 말을 자주 들어 생각이 많았는데 최규석 만화를 보다 미학이라는 것은 지켜나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이겠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스타일은 겉모습이나 형식이 아니라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방식 자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렇다면 직구를 던지는 것이 최규석의 스타일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