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감독
에비사와 야스히사 지음, 김석중 옮김 / 서커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잘 써진 스포츠 소설은 뭘까 라는 궁금증 때문에 읽었다. 이전에 신문에서 본 광고에 대한 기억이 떠올라 펼쳐든 것이다.

스포츠 소설 답게 엄청난 흡입력이 있다. 야구 만화를 본 사람은 그 흡입력의 정체를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주인공이 속한 팀의 경기가 어떻게 끝날지 대부분 예측할 수 있지만 페이지를 넘길 수밖에 없는 이유가 분명 존재한다. 그라운드의 숨소리를 듣고 있는 기분이랄까, 자기도 모르게 그 경기 당사자가 되고 마는 심리라고 할까. 『야구 감독』은 철저하게 이 심리를 이용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야구라는 경기로 모든 것을 이야기한다. 우리 나라의 야구 소설인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과는 정반대의 야구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박민규의 소설이 완벽하게 정치적인 이야기라면-왜 야구는 즐길 수 없는가, 왜 우리는 승부해야 하는가, 대체 누구를 위해서 인가, 왜 자본의 노예가 되어 육체를 조각 내도록 굴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그 소설을 이루고 있었다고 나는 기억한다- 이 소설은 야구는 이기기 위해 하는 게임이라고 박민규의 소설의 정 반대편 논리를 이야기한다. ‘게임은 이기기 위해 하는 것이다’-이것이 이 소설의 주인공인 야구 감독 히로오카의 논리이고 그의 간단명료하고 깔끔하고 스마트한 이상적인 캐릭터를 뒷받침하는 논리이다. 그러므로 이 캐릭터 안에서 모든 것은 이야기된다. 의례 스포츠 만화가 그렇듯 이 소설은 한 명의 캐릭터가 한 팀을 어떻게 바꾸는가를 이야기한다. 그 캐릭터가 선수가 아니라 감독일 뿐이다. 왜냐하면 야구는 팀 플레이이고 팀을 지휘하는 사람은 감독이고 야구는 공격이 아니라 수비, 팀 내 모든 선수가 자기 포지션에서 최선을 다해야만 승리할 수 있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한 시간에서 세 시간 사이에 벌어지는 박진감 넘치는 스포츠의 매력을 끌어내 소설로 완성했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스포츠의 매력에서 끝난다. 그 시간 안에 마인드, 의지가 얼마나 발휘되느냐에 따라 경기가 결정되듯 히로오카로 명명되는 승리에 대한 투지와 정열이 팀 내에서 얼마나 발휘되느냐에 따라 엔젤스(히로오카가 이끄는 꼴찌 팀)은 이기거나 진다. 그들은 드라마틱하게 최하위 팀에서 최상위 팀으로 발돋움하고 선수 각자는 진정한 야구가 무엇인지 깨닫는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인간적이지 않다. 모든 캐릭터는 일면적이고 단지 야구를 위해 존재한다. 그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조리는 단지 야구라는 스포츠에 종속되어 있다. 사회의 부조리, 현대성의 부조리는 어디에도 없다. 문장조차 이 법칙을 끝까지 지킨다. 어떤 소설은 자기 선을 적절히 지키는 것이 최선일 수 있다면 이 소설은 그 법칙을 따라 흡입력을 발산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한다. 딱 거기까지이다. 경기가 끝나면 삶이 기다리지만, 그 삶을 돌보지는 않는다. 만약 그래도 그 삶을 찾아야 한다면, 소설을 덮고 당신 일상으로 돌아가 히로오카처럼 깔끔한 마음으로 전심전력으로 세계에 임하라, 그러면 부조리라는 장벽을 건널 수 있을 것이다 정도?
아, 하지만 다시는 이 사람 책을 읽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야구장이 가고 싶긴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