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 상 - Mr. Know 세계문학 15 Mr. Know 세계문학 15
움베르토 에코 지음 / 열린책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다시 이 책을 도서관에서 빌린 이유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같은 중세의 철학자들 때문이었다. 학문의 암흑기라 불리는 이 시기의 철학자들은 하나 같이 신을 중심에 두고 빙글빙글 눈 가리고 술래잡기를 하는 것 같아 하도 답답해, 대체 이 철학으로 만든 최상급의 이야기는 무엇인가 하여 옛 기억에 의지해 빼든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결국 나의 미욱함을 느끼고 반성을 할 밖에. 대가가 쓴 추리소설이며 역사소설인 이 이야기 안에 사상은 또 얼마나 매끄럽게 녹아들어있는지…….

중세라는 천년 왕국 동안 이단을 매달아 화형대를 드높이던 당시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내며 에코는 이야기 구조 속에 자신 나름의 이 시대에 대한 평가를 곁들이고 있다. 기독교적인 것만을 탐하던 유럽의 중세가 내게는 동굴(태양)로 들어가려는 집단 아우성처럼 들렸다. 도착점은 하나인데 출발점이 전부 다르다보니 이 길로 가야 동굴이 나온다는 사람도 있고 저 길로 가야 동굴이 나온다는 사람도 있는 꼴이랄까. 그런데 실상 동굴은 살아서는 갈 수 없는 곳이므로, 서로의 길이 잘못됐다고 싸울 수밖에.



“진정한 앎이란, 알아야 하는 것, 알 수 있는 것만 알면 되는 것이 아니야. 알 수 있었던 것, 알아서는 안되는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것이다.”


“자, 강을 생각해 보아라. 단단한 땅, 튼튼한 제방 사이를 오래오래 흘러가는 강을……. 어느 시점에 이르면 흘러가는 강은 기진한다. 너무 오랜 시간 너무 넓은 공간을 흘렀기 때문이요, 마침내 바다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로써 강은 죽음을 맞는다. 죽음을 맞기 때문에 강은 더 이상 제 존재를 느끼지 못한다. 즉, 강의 고유성은 여기에서 끝나는 것이다. 바로 이곳에서 강은 강 자체의 삼각주가 된다. 주류(主流)는 남을지 모르나 지류는 사방으로 흩어진다. 혹 어떤 흐름은 흐르기를 계속하고, 혹 어떤 흐름은 다른 흐름에 휩쓸리나 어느 흐름이 어느 흐름을 낳고 어느 흐름에 휩쓸리는가는 아무도 모른다. 어느 것이 여전히 강이고 어느 것이 이미 바다가 되었는지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이것과 저것이 다름을 알기란 참으로 어렵고도 어려운 일이다.”




그를 태우는 불길을 보고 내가 느꼈던 정체 모를 황홀, 여자와 함께하면서 내가 경험했던 육체적인 결합에의 욕망, 약간 비유적으로 표현했던 저 더할 나위 없는 부끄러움, 그리고 영원의 삶이라는 명분 아래 성인들을 죽음으로 몰아 갔던 저 파멸에의 욕망 사이에 닮은 데가 없는 것일까? 이렇게 의미가 무궁한 사상(事象)을 단순하게 이것이다, 저것이다, 할 수 있는 것일까?




이제 알 것도 같다. 우주라고 하는 것은 하느님이 손가락으로 쓰신 서책과 같은 것이다. 이 서책에서는 만물이 우리에게 창조자의 크신 은혜를 전한다. 바로 이 서책에서 만물은 삶과 죽음의 얼굴이자 거울이 되며, 바로 이 서책에서 한송이 초라한 장미는 온갖 지상적 순행(巡行)의 표징이 된다.




사랑은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




그렇다면 장서관이란, 수세기에 걸쳐 서책끼리의 음울한 속삭임이 계속되는 곳, 인간의 정신에 의해서는 정복되지 않는, 살아 있는 막강한 권력자, 만든 자, 옮겨 쓴 자가 죽어도 고스란히 살아 남을 무한한 비밀의 보고인 셈이었다.




“정결함을 얻으려면 무엇을 경계해야 합니까?”

“성급함이다.”


“사랑하는 대상에 대해 선(善)해야만 그 대상에 기울이는 사랑이 참사랑일 수 있는 법이다.”


“하느님께서는 무한한 은혜의 폭포를 영감에게 허락하시고도 한 가지를 더 허락하셨어. 그게 뭔고 하니, 세상에 대한 영감의 그 거지 같은 상상력이야. 이 세상의 그 잘난 체하는 진리의 해석자란, 오래 전에 배운 말이나 깍깍거리는 얼빠진 까마귀와 다를 바 없어!“


문득 아우구스티누스 이야기가 생각났다. 어느 날 길을 가던 이 성인은, 숟가락으로 바닷물을 퍼내고 있는 한 소년을 만났다. 소년은 천사였다. 소년으로 변장한 천사는, 하느님의 신비를 알아내려 성인을 곯려 주느라고 숟가락으로 바닷물을 퍼내고 있었던 것이다.



“가짜 그리스도는 지나친 믿음에서 나올 수도 있고, 하느님이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사랑에서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단자 중에서 성자가 나오고 선견자 중에서 신들린 무당이 나오듯이……. 아드소, 선지자를 두렵게 여겨라. 그리고 진리를 위해서 죽을 수 있는 자를 경계하여라. 진리를 위해 죽을 수 있는 자는 대체로 많은 사람을 저와 함께 죽게 하거나, 때로는 저보다 먼저, 때로는 저 대신 죽게 하는 법이다. 호르헤가, 능히 악마의 대리자 노릇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저 나름의 진리를 지나치게 사랑한 나머지 허위로 여겨지는 것과 몸을 바쳐 싸울 각오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호르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책을 두려워한 것은, 이 책이 능히 모든 진리의 얼굴을 일그러뜨리는 방법을 가르침으로써 우리를 망령의 노예가 되지 않게 해 줄 수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인류를 사랑하는 사람의 할 일은, 사람들로 하여금 진리를 비웃게 하고, 진리로 하여금 웃게 하는 것일 듯하구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에서 우리 자신을 해방시키는 일……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좇아야 할 궁극적인 진리가 아니겠느냐?”

“나는 기호의 진실을 의심한 적이 없다. 이 세상에서 인간이 나아갈 길을 일러주는 것은 기호밖에 없다. 내가 이해하지 못한 것은 기호와 기호와의 관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