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동물이 발밑에서 기어가고 꿈틀거리고 몸을 뒤튼다. 하지만 만다라 위쪽에서 움직이는 것은 나 혼자뿐이다. 따뜻하고 축축한 흙은 온갖 동물의 보금자리가 되지만, 아무리 여건이 좋다 해도 흙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흙의 주요 식량 공급원은, 죽음이다. - P331

결국, 크고 물에 사는 우리는 동물의 다양성을 보지 못할 뿐 아니라 생물 생리의 참된 본성 또한 알지 못한다. - P332

단절의 충격은 어떤 점에서 내게 안도감을 선사했다. 세상은 나를, 또는 인류를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자연계의 인과적 중심이 만들어지는 데 인간은 전혀 기여하지 않았다. 생명은 우리를 초월한다. 인류가 세상의 중심이 아니므로 우리는 바깥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 P342

하지만 내 경험에서 얻은 두 가지 깨달음은 새로 관찰을 시작하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듯하다. 첫 번째 조언은 기대를 내려놓으라는 것이다. 홍분, 아름다움, 폭력, 계몽, 신성함 등을 기대하면 사물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데 방해가 되며 마음이 조급해질 우려가 있다. 오로지 감각이 열정적으로 열리기만을 기대하기 바란다.
두 번째 조언은 명상 훈련법을 차용하여 ‘지금 이 순간‘에 주의를 집중하라는 것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주의가 분산된다. 가만히 제자리로 돌려놓으라. 소리의 특징, 장소의 느낌과 냄새, 복잡한 시각적환경 등 세세한 감각 요소를 찾고 또 찾으라. - P345

마음의 내면적 성질은 그 자체로 자연사의 훌륭한 스승이다. 이곳에서 우리는 ‘자연‘이 별개의 장소가 아님을 배운다. 우리도 동물이다. 생태적으로 진화적으로 풍성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영장류일 뿐이다. 주의를 기울이면 어느 때든 우리 안의 동물을 관찰할 수 있다.
과일과 고기와 설탕과 소금에 끌리는 입맛, 사회적 계층과 패거리와 동료에 대한 집착, 인간의 피부와 머리카락과 체형의 아름다움에 대한 매혹, 끊임없는 지적 호기심과 야심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들 각자는 오래된 숲 못지않게 복잡하고 깊숙한, 저마다의 사연이 담긴 만다라에서 살아간다. 게다가 자신을 관찰하는 것과 세상을 관찰하는 것은 대립하는 활동이 아니다. 나는 숲을 관찰함으로써 자신을 더 또렷이 보게 되었다.
자신을 관찰함으로써 발견하게 되는 것 중 하나는 주위 세상에 대한 친밀감이다. 생명 공동체를 명명하고 이해하고 향유하려는 욕망은 인간성의 일부다. 살아 있는 만다라를 고요히 관찰하는 것은이 유산을 재발견하고 계발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 P3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