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나무가 쓰러진 뒤에야 이것이 얼마나 거대한 생명체인지 알 수 있다. 바닷가에 떠내려와 죽은 고래처럼 말이다. - P305
나무가 쓰러지면 빛이 쏟아져 들어온다. 꼬마나무는 (도목에 짓이겨지거나 밑에 깔리지만 않았다면) 햇빛을 듬뿍 받아 쑥쑥 자란다. 오래 기다렸다. 작고 어려 보이지만 이 꼬마나무들 중에는 수십 년 아니 수백 년 묵은 것도 있다. 그늘에서 천천히 자라며 몇 년에 한번씩 뿌리만 남기고 죽었다가 다시 싹을 틔우면서 하늘이 열려 어둠에서 해방될 때까지 묵묵히 기다리는 것이다. - P306
그리하여 협력은 진화의 정점에서 또 다른 보석을 얻는다. 생명의 역사에서 일어난 주요 변화는 대부분 식물과 균류의 결합 같은 합작 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큰 생물의 세포에는 어김없이 공생 세균이 들어가 살고 있을 뿐 아니라, 숙주가 된 생물 또한 공생관계를 통해 형성되거나 변형된다. 육상식물, 지의류, 산호초 등은 모두 공생의 산물이다. 지구상에서 이 세 가지를 빼면 사실상 남는 것이 없다. - P322
흙의 생명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수록 ‘뿌리‘, ‘토대‘ 같은 언어적 상징의 의미가 더 분명해진다. 이 단어들은 단순히 물리적 연결이 아니라 환경과의 호혜 관계, 다른 공동체 구성원과의 상호 의존, 뿌리가 주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두루 일컫기 때문이다. 이 모든 관계가 생명의 역사에 아주 깊숙이 뿌리 내린 만큼, 개별성의 환상은 설 자리가 없으며 홀로 존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P323
땅속은 땅 위와 놀랄 만큼 다르다. 땅 위는 곁을 지나가는 박새 말고는 숲 속에 나 혼자뿐이다. 하지만 낙엽층 표면에서 1센티미터만 내려가면 온갖 동물이 북적댄다. - P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