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처럼 나도 외로워서
김현성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그와 통인동인지 효자동인지 경복궁역 어디 즈음에서 샌드위치를 먹으러 갔던 기억이 난다. 여러 번 모임을 같이 했는데도 왜 이 기억이 가장 먼저 나는지 모르겠다. 딱 이만큼의 추위 때문인가. 그때 누가 같이 있었지?


기억이 다 헝클어졌는데 이 샌드위치 집은 기억이 난다. 비싼 고급 샌드위치 가게라서일까. 그날 우리는 샌드위치 가게를 들렀다가 사람이 많아 가지 못하고 그 동네 시장에서 가장 유명하다는 잔치국수 집에서 국수를 먹고 카페에 갔었나. 샌드위치 가게는 위치만 기억해두고 다른 친구와 갔던가. 그때 그가 그 동네로 이사를 가고 얼마 안 돼서 인가.


생각해보면 모임은 늘 경복궁역에서 했다. 대학 이후 대학교 친구들과 했던 모임도, 대학원 이후 대학원 친구들과 했던 모임도 그랬다.


아주 친하지는 않았는데 안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과 대학 이후 대학생활 추억하기 아니면 대학 생활에서 얻은 것을 잘 꾸려나갈 수 있는 발판을 함께 마련하기를 했고 대학원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그랬다. 생각해보면 대학 이후, 대학원 이후 그 학창시절과 결별하는 과정 같은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딱 부러지게 헤어질 줄을 모르니까. 심지어 학창시절에 대해서도 그랬던 것 같다.


그 역시 친하지도 안 친하지도 않은 사람이었고


모임에서 자주 만났고 글을 잘 썼다. 내가 지금까지 기억하는 소설이 두 편 정도인 것을 보면. 나는 왜 그가 세상에 소설가로 이름을 밝히지 못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세상을 믿지 않게 되었다.


아니 세상과 나의 시각의 편차 때문에 혼자 놀기로 했다고 해야 할까.


세상은 능력이나 재능만으로 되는 곳이 아니라


운과 재능과 노력이 합쳐져 홈런을 한 방 칠 수 있을까 말까 한 곳이라는 것


이 말이 좋은 말인 것도 같지만 어느 날 보면 답답해 미치게 한다는 것.


때로 대단히 편협하게 굴기도 하는 나는


이 지점에서 대단히 편협해서


이도 저도 못하고 있는 걸까.


 


평일 경복궁역 부근은 한산하고 깨끗하다.


아직 서촌이 이렇게까지 급부상하기 전에 모임을 해서 더 그랬을 것이다.


나는 그때 왜 우리만 이렇게 한량처럼 사는가


나는 부잣집 딸도 아니고 예술적 재능을 허벌나게 인정받은 것도 아닌데


아무도 내게 이 증표를 부여해주지 않았는데


왜 이렇게 사는 거지


이건 죄악이야


이런 생각도 더러 했다.


현실 속으로 들어가자고


9시부터 6시까지 좀 더 쥐어짜내며 견디는 곳


그 견딤이 현실일까


지금 이곳에서는 이런 말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서 나는 떠나는 일을 업으로 하다가


좀 더 멀리 떠나왔다.


떠나는 일을 업으로 할 때도 9시부터 6시까지라는 이 일정표 안에서 초침을 계속 바라보는 기분이 들게 하는 날이 있었고(심지어 6시가 땡치는 시간이 아닌 날이 많아 배신감이 더했으며)


여기서도 그렇다.


그런데도 우습게도 시간이 지나 정말 6시가 되면 내 하루가 다 어디로 갔는지는 알 수가 없다.


쓰레기통이나 하수구 속으로 흘러들어간 것도 같고


몇 푼의 돈과(이 돈이 없으면 나는 못 사는) 맞바꾼 것도 같고


왜 세상은 돈과 시간을 맞바꾸려할까


그렇게 인간을 통제해서 시스템을 이루고


그것이 언젠가 발전으로 이어지고


나는 한 마리 작은 개미라 그것을 잘 이해할 수 없는 걸까


 


떠날 준비를 함께 하던 그


라고 나는 생각하지만


그는 그냥 예술가로 계속 살고 있다.


이제 나는 완전히 떠나서 다른 곳에서


그가 책을 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역시 다른 의미로 한국을 떠나서 어딘가를 돌아다녔고 그 기록을 책으로 냈다.


 


페이스북에서 보고 그가 맞나 확인해봤다.


소설이 아니라 에세이집이라 서운했지만


첫 걸음이 무엇이든 뭐...


 


 


사실 이 세계에서 나에게 오는 메시지는 무언가를 사라는 것 말고는 없게 된 것 같다.


돈을 주고 우리가 만든 물건을 사라는 것.


우리에게 이윤을 남길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


(오늘 온 3통의 카톡도 그랬다.


유니클로, 맥심, 카카오페이,


이 고유명사들은 모두 판매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그 판매를 좀 더 예쁘게 포장해 말을 건다. 하지만 나는 자본주의의 혹독함과 세련됨이 싫을 뿐이다.)


무지막지 쓸쓸한 일이다.


 


페이스북의 메시지도 그런 것이었으나


그럼에도 반가웠다.


 


책은 읽어서 뭐하게


이 질문으로부터 나는


요새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면서도 책을 사고 빌리고 때로 읽는다.


한동안은 점심시간에 그림책을 읽으며


마음의 평화를 찾았으나


점차 생각도 그림책 같아지고


그림책 같은 이야기들이 머릿속에 자꾸 떠오른다는 사실을 깨닫고


스케치북을 살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문제를 앞에 두고 더는 한 발자국을 나가지 않고 있다.


 


요새 읽은 책도 빌려온 책도


대부분 에세이집인 것을 보면


정말 에세이가 판 치는 시대다.


더는 소설을 읽기 어려운 시대라서일까


남의 생각을 들여다보며 무엇을 얻고 싶은 걸까


잠시간의 마음이 맞는 대화 같은 것인가.


(책을 읽다보니


그 시절 안국동 코코브루니 2층에서 놀던 기억이 새록새록하긴 하다)


 


 


그래도 어제 현성 오빠의 '고해소' 글 때문에


나는 맥주를 안 마시고 잠들 수 있었다.


새벽에 1층 편의점으로 갈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문제 앞에서


나는 고해소의 글을 떠올리고 그냥 잤다.


 


 


하지만 분명히 말하지만, 나는 그의 소설이 그의 에세이보다 좋다.


 


 


 


-나는 가끔 다음 생에는 인디언으로 태어날 거야


이런 말을 한다.


그러면 제국주의의 희생자로 조낸 불행해하는 인디언의 마지막 자손 즈음이 돼서 다음 생에는 다시는 인디언으로 태어나지 않을 거야


이런 말을 하게 될 걸


이런 농담으로


이번 생을 보내고 있는 중이다.




20151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