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그러한 감정이 바람 불면 물결이 일듯 일어나는 것과, 그 속으로 풍덩 빠져 헤어나올 수 없게 돼버리는 것은 분명 다르다. 물론 나쁜 상태는 한번 일어나면 거부할 수 없이 우리를 포박하려 들지만 거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마음의 힘 또한 노력할수록 강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 노력의 방법 중 하나가 자연과 최대한 가까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식물은 자기 상태에 대한 미움이나 비난이 없다. 그리고 마음은 본래 그런 식물의 형태이지 지금 나를 옥죄어오는 이 나쁜 형태가 아니다. 어쩌면 그 사실을 한번 더 환기하기 위해 지금 앓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 P216

저자는 교도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원예 수업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다가 사실 현대인의 일조량, 곧 외부 활동의 양을 따져보면 교도소에 수감된 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사실 이 거대한 도시에 갇힌 수감자들이며, 적절한 파괴와 돌봄, 성장의 드라마, 그것을 통해 얻는 승화를 의도적으로 도모해야 하는 존재들이다. - P223

도시는 식물을 풍경의 오브제로 삼곤 하지만 본래 식물은 그런 것이 아니니까. 만지고 뜯고 냄새 맡고 먹는 것이니까. 만약 식물에게서 매번 고통을 상상한다면 식물을 기르는 방식은 매우 왜곡될 것이다. 잎을 떨어뜨리거나 가지를 휘거나 적절한 시기가 되면 꽃을 말려 떨어뜨리는 식물의 행태는 식물의 방식대로 읽을 때 비로소 본질에 맞는 자연적 행위가 된다. 가드닝을 하며 식물과 나는 생존의 드라마를 함께 겪지만 그것은 인간인 내가 구성한 것일 뿐 사실 거기서 발생하는 상념들은 식물 자체와는 무관하다. 그 무관함, 발코니에서의 날들이 계속되면서 나는 내가 배워야 하는 것이 바로 그 무관함이라는 생각을 한다. -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