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현상의 직관이 무한성이라는 이념을 수반할 경우, 그렇게 현상하는 자연이 바로 숭고하다(고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자연 현상의 직관이 무한성이라는 이념을 수반하는 것은 대상의 크기를 평가함에 있어서 우리의 상상력의 최대의 노력을 해도 그 노력이 그 대상의 크기 평가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지성의 수 개념은 전진(수열)을 통해 모든 척도를 주어진 어떠한 크기에도 적합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수학적 크기 평가에 있어서는 상상력은 어떠한 대상이라도 감당하여 그 대상의 크기 평가를 위한 충분한 척도를 제공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점진적인 포착을 하나의 전체 직관으로 파악하는 상상력의 능력을 뛰어넘어 포괄하려는 노력이 감지되는 것, 그리고 그와 동시에 지성의 작은 도움만으로도 크기 평가를 위해 유용한 근본 척도를 파악할 수 있고 또 그 척도를 크기 평가에 사용함에 있어서 무한히 진행할 수 있는 이 능력마저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지각되는 것, 바로 이런 것은 크기에 대한 감성적 평가에서만 발생함이 틀림없다. 이제 자연의 고유하고도 불변하는 근본 척도는 자연의 절대적 전체이고, 이 전체는 현상으로서의 자연에 있어서는 포괄된 무한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근본 척도는 자기모순적 개념(끝없는 진행의 절대적 총체적이란 불가능하기 때문에)이므로, 상상력이 자신의 모든 능력을 발휘해도 포괄할 수 없는 자연물의 크기는 자연에 관한 개념을 (자연과 또 동시에 우리의 사유 능력을 근거 짓고 있는) 하나의 초감성적 기체로 유도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기체는 감관의 모든 척도를 넘어서는 큰 것이며, 따라서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을 평가할 때의 우리 마음 상태가 숭고한 것으로 판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감성적 판단력은 미를 판정할 경우 자유롭게 유희하는 상상력을 지성과 연관시켜 지성의 개념들 일반과 (그 개념을 규정하지 않고) 합치시키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어떤 사물을 숭고하다고 판정할 경우에는 상상력을 이성과 연관시켜 그 이념들과 (어떠한 이념인가는 규정하지 않고) 주관적으로 일치시킨다. 즉 일정한 (실천적) 이념들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야기될 마음의 상태에 적합하고 또 그런 이념과 조화로운 마음의 상태를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진정한 숭고성은 오직 판단자의 마음속에서만 찾아지는 것일 뿐, 자연물의 판정이 그러한 마음 상태를 유발한다고 해서 자연물에서 찾아주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얼음이 겹겹이 쌓인 거칠고 무질서하게 일그러진 산악이나 어둠 속에서 미친 듯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것들을 누가 숭고하다고 부르겠는가? 그러나 마음이 그러한 것들을 고찰함에 있어서 그 형식은 고려하지 않고 (단지) 상상력과 일체의 규정된 목적 없이 상상력과 결합하여 상상력을 단지 확장할 뿐인 이성에 자기를 내맡겼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상상력의 능력이 여전히 이성의 이념들이 부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면, 그때 마음은 자신의 고유한 판정에 있어서 자신이 고양됨을 느끼게 된다.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