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변화는 자연과의 조화와 연대, 선행, 타이에 대한 공감과 배려, 인간으로서의 겸손을 지지하고 촉구한다. 우리가모든 생명체와 함께하는 공생의 일부라는 점은 그 어떤 생물체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환경에서 모든 건 하잘것없는 존재가 아니다.
큰까마귀는 특별히 설계된 인간의 뒷다리 대신 특별히 설계된 앞다리를 사용해 머리 위로 높이 날아오른다. 산비탈에서 급강하하고 동료를 벗 삼아 날갯짓으로 바람을 타며 인간은 절대 흉내 낼 수 없는 요란한 소리로 서로에게 고함을 친다. 북아메리카대륙 전역의 산악 지대에사는 검은머리솔새 Dendroica striata는 함께 모여 3일짜리 2400킬로미터 경로를 멈추지 않고 죽기 살기로 날아 동쪽 해안으로 내려간 뒤, 멕시코만을 건너 남아메리카로 가는 전통적인 비행을 시작한다. 그중 다수가 대륙을 가로질러 알래스카 북쪽에서 동부 해안으로 이동한다. 봄이 되면 또 다른 경로로 플로리다를 경유해 알래스카로 돌아가거나 뉴잉글랜드 북부 산꼭대기에 있는 가문비나무 집으로 이동한다. 우리는 검은머리솔새가 겨울을 피해 이동했다가 다시 봄에 둥지로 오기 위해 반대로 돌아오는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절대 잊지 말자. 큰까마귀와 검은머리솔새는 그날 나를 포함한 참가자들이 산을 달린 이유와 같은 이유로 그러는 것이다. 그냥 그러고 싶어서 그런다는 말이다. 그게전부다. 그렇다면 어떻게 진화가 까마귀들에게 그런 마음을 주었을까?
바로, 우리를 즐겁게 만드는 엔도르핀과 행위를 연결 지어 거부할 수없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그 행위는 궁극적인 보상을 생각하지 않는그 자체의 즐거움을 위한 게 된다. 이 새들, 적어도 그해에 태어난 새끼는 자신이 어디로, 어떻게, 왜 가는지를 자각하지 못한다. 그 궁금증을 어른에게 물어볼 수 있는 언어 체계가 없기 때문이다. 큰까마귀는 공기를 가르며 화살처럼 곤두박질치고 검은머리솔새는 바람에 맞서는 대신 바람을 타고 날고 싶어 한다. 우리가 출발 신호를 기다렸다 내달리듯 바람의 신호를 기다리는 것이다. - P212

성인으로서 우리의 행동은 대부분 물리적 현실에뿌리를 둔 생각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감정에만 의존하는 다른 동물이할 수 없는 생각을 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는 사회적 역할은 물론이고심원의 시간 동안 거쳐온 자연의, 가깝게는 개인의 생을 마감한 후에도확장될 수 있는 자아내부에서 생성된 장수 가능성이 있다. - P220

우리는 같은 구명보트를 타고 자연이라는 바다위에 뜬 채 동일한 제약과 가능성이 지배하는 아름다운 세계에서 똑같은 필요를 공유하고 있다는 걸 인지해야 한다. - P2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