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자에게
김금희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바닷가에 살게 되었다. 책을 다 읽었는데 바다가 보고 싶으면, 5분을 걸어나가면 바다를 볼 수 있는 동네다. 낮에는 관광객들이 펼쳐놓은 텐트가 가득하더니, 오후 8시 넘어 나가니 일요일이라 그런지 바닷가도 주말이면 주차장이 되곤 하는 자전거도로도 한산했다. 주말이 지난 것이다. 이렇게 주말에 사람이 즐비했다가 일요일이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것도 이젠 익숙해졌다. 1년 전, 회사를 사직해, 바닷가로 이사와 거의 10개월이 되어 가기 때문이다. 바닷가에 이사를 오고 싶어서 사직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동력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계속 바다라고는 없는, 자연이라는 것마저 거의 없는 그 도시에 남을까, 여기로 올까, 그런 저울질이 있었던 것 같다. 부부가 이혼하는데 모든 게 이유라고 하듯, 사직의 이유도 그런 것도 같다. 


요새 들여다보다 만 책이 7권 정도 되는데, 유일하게 펼쳐서 다 읽은 책이다. 1챕터 정도를 읽고 덮은 뒤, 갑자기 김금희 작가의 글이 읽고 싶어 다시 펼쳐들고 다 읽었다. 쨍한 문장 말고 따뜻함 같은 것을 읽고 싶었던 것 같다. 

따뜻하다. 문장에도 온도 같은 게 있다면, 대부분 김금희 작가의 글은 따뜻하다. 그게 좋아서 계속 읽는 것 같다. ‘복자에게’, 판사라는 직업의 세계와 제주를 다룬 소설, 여성의 문제, 약자의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 하면 의례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선을 넘어선, 김금희 특유의 따뜻함이 있다. 

생각해보면, 바닷가에 살아야지 생각한 게 내가 10살 무렵 3달 정도 살았던 완도에 대한 기억 때문도 있는 것을 보면, (그때가 내 유년기 인생 중 가장 괜찮았다고 나는 기억하고 있다. 그 원인이 시골 사람들 특유의 정겨움이었는지, 바다였는지는 잊었지만.) 그래서 이 소설이 더 흡입력있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유년을 제주 고고리(가상의 지명이다)에서 보낸 화자가 판사가 되어 제주로 돌아오게 되고 유년의 친구들을 만나고, 그 시절의 어떤 것들을 온전히 회복해내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좀 더 너그럽게, 중학생이 되며 떠날 때처럼 무참하게 떠난 것도 같지만 지나보면 좀 더 너그럽게 세상과 마주하게 된 게 아닐까 하는 이야기다. 

제목 속에 등장하는 복자는 '나'의 유년시절 친구이고 그 시절 상처 입은 채 제주에 와 있는 나에게 어떤 따뜻함을 베풀어준 친구이기도 하지만, 소설에 대한 작가의 글을 읽으며 어렵게 승리를 일구어낸 그들에게, 라는 의미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이 사직서를 내고 읽기 좋은 이유는, 물론 실제로 주인공이 사직서를 낸 것도 맞지만, 사직서를 내는 일이 실패가 아니라며 나온 대사 ‘그런 건 인생을 더 깊이 용인한다는 자세 아닐까’라는 그 말 때문도 있지만, 사직과 같은 절연이 꼭 '퉤퉤 이제 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얘기했듯 부부의 이혼처럼 a부터 Z까지 이유였으나, 무엇이라 말할 수는 없는. 

 소설 속에서 사건은 두 개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어린 시절 나와 함께 살던 고모의 일과 지금 나의 일이다. 두 사람 모두 가해자라 할 수 없으나 피해 입은 이들을 사랑하며 그 곁에서 치명적이지 않지만 스스로는 치명적이라고 느끼는 가운데 무력하게 그들을 지켜보고 걱정해야 하는데, 그 스스로에게는 무력해보이는 걱정이나 우려도 실은 노력이구나, 소설을 보니 그런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는 외로우면 바다를 나갈 수 있는데, 그건 꽤나 결정적으로 괜찮은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