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3
박완서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 소설은 타인이라는 속절없는 속물의 세계와 내부에 존재하는 구멍 사이에 좁혀지지 않는 혼돈을 이야기한다.


소견으로는 아무리 보아도 갈피를 잡을 없는 막막한 혼돈(p.316), 


비로소 내가 철들고 덮어놓고 몸을 던진 광대무변한 혼돈 속에서 무엇인가를 보았다고 말할 있을 같았다. 그건 사람마다 죽자꾸나 쫓고 쫓기고 있다는 거였다.(p.326)


둘은 <무중(霧中)> 문장이다. 무중의 나는 맨션 아파트 1층에 이사 살기 시작했다. 1층에 사는 나와 옆집 남자 둘뿐. 나는 나이 남자가 마련해준 집에 살면서도 도망칠 틈을 두기 위해 1층을 고집했다. 나는 매일 남자의 쫓기는듯한 숨소리를 들으며 남자와 불안을 야금야금 나눠먹을 꿈을 꾸고 그에게 다가가고 그의 베란다에 숨어들지만, 그는 현상금이 붙은 남자였음이 밝혀지며 소설은 끝난다.


소설 <로열 박스> 비슷하게 아파트에 살게 여성의 이야기다. 재벌의 둘째 아들인 남편이 갑자기 가문을 물려받을 위기 속에서 정신병원에 들어가게 혼자 시아버지와 같은 단지 아파트에 살게 그녀에게 보험을 들라며 친구가 찾아온다. 친구의 속물성이나 <무중> 반상회에서 만난 여자들의 속물성. 그러나 결국 속물성 뒤에 또한 소설 화자거나 주인공인 이들의 속에도 '욕망' '지글대' 있으며 욕망의 부딪힘 속에서 커져가는 혼돈의 구멍을 박완서 소설은 주시한다. 내부에 뚫려가는 구멍.  '마음을 좀먹고 있는 불안'.

 

박완서의 소설은 하나같이 무섭다. <육복>에서 아내는 사우디에서 일하던 남편이 서울로 발령난 대해 화를 낸다. 그런 더러운 막노동꾼꼴로 우리 집을 매일 드나들거. 집을 남편이 더러운 막노동꾼꼴로 만들어냈음에도. , 하지만 그게 나다. 그게 사람이다.


<천변풍경>에서 남자는 약수터에서 만난 이들의 속물근성에 치를 떨지만, 실은 그가 그들보다 아래 연배임에도 일찍 자리에서 물러나 겉만 속절없이 늙어버렸음이 후반부에 밝혀진다.


<그의 외롭고 쓸쓸한 > 광고 카피라이터인 남자가 말로만 어머니방을 만들어두었다 어머니가 실지로 서울로 집에 살겠다고 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다. 남자도 어머니도 속에 진득하게 들러붙은 욕망이 덕지덕지 추해져버린 어떤 덩어리로 그려진다.


<아저씨의 훈장> 전쟁 조카만 데리고 남한으로 아저씨가 혼자 늙어 버려져 자기 아들 이름을 부르는 것으로 끝이 난다. '아저씨' 입때껏 자신을 치장했던 도덕성이 벗겨져 버린 모습.


<무서운 아이들>에서 '' 약혼한 남자에게 아버지의 사업이 망한 퇴짜 맞고 선생이 반의 지능발달이 늦은 아이를 자기 아이들이 시키자 아이에게 훔치든지 빼앗으라고 한다. 말이 실수임에도 그녀는 통쾌함을 느낀다.


<소묘>에서는 시어머니가 화분을 가꾸며 남편과 아들과 며느리를 보이고 싶은 방식으로 외부에 노출시키고 집안 사람들은 자기 욕망에 시들해진 오락을 하는 아들(남편) 손길에서 거침없는 욕망을 보는 것으로 끝이 난다.


박완서 소설 인물은 하나같이 욕망 앞에서, 늙음 앞에서 속절없다. 그게 삶이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