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생애
이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승우라는 작가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그가 만약 10대였다면 훌륭한 라임으로 랩을 하고 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사실 소설의 줄거리는 단순하여 시청률을 기대하기도 힘든 단막극의 내용이었지만 그의 집요한 서술은 감당하기가 힘들면서도 눈이 번쩍 뜨이고 가슴이 쿵하고 울렸습니다.
‘사랑학’ 또는 ‘연인학’ 이라는 학문이 있다면 석사과정쯤의 교재로 사용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글로 이루어진 그의 문장 하나하나를 다시 해석해가며 읽어봐야겠습니.

사랑하는 사람은 사랑의 숙주이다. 사랑은 누군가에게 홀려서 사랑하기로 작정 한 사람의 내부에서 생을 시작한다. 어떤 사람은 사랑이 마치 물이나 수렁이라도 되는 것처럼, 아니면 누군가 파놓은 함정이라도 되는 것처럼, 난 사랑에 빠졌어, 라고 말한다. 사랑이 사람이 빠지거나 잠길 수 있는 것인 양 물화시켜 버리는 이런 수사는 사랑의 불가항력적 성격을 표현 하면서 동시에 그에 대한 무의식적인 저항을 암시 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무력하다는 인식이 이 문장의 바탕에 자리하고 있다. 그곳이 어디든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그 스스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매우 곤란한 상황에 놓인다. 가령 수렁에 빠진 사람은 거기에 빠질지 모르는 상태에서 빠지고 외부에서 누군가 건져 주지 않으면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불가항력적이다. 그런데 이 문장의 주어는 ‘나’이다. 사랑에 빠진 사람이 ‘나’ 이다. 흐릿하고 희미하지만 ‘나’가 주어이다. 나는 ····에 ‘빠졌다’. 그래서 옴짝달싹하지 못한다. 난처하고 곤란하다. 어쨌든 빠진 사람은 ‘나’이지 다른 사람이 아니다. ‘나는’····에 빠졌다. 그러므로 거기서 빠져나오기도 할 것이다. 불가항력적인 성격의 사랑을 거부하려는 무의식이 이 희미한 주어, ‘나’를 고수하게 한다. 빠진 사람이 나이므로 빠져 나올 사람도 나라는 생각은 돌연히 들이닥친 사랑의 사건 앞에서 주체가 겪는 당황과 불안과 무기력을 몰아내기 위해, 혹은 회피하기 위해 구사하는 일종의 기교같은 것이다. 안타깝게도 이 기교는 거의효과를 내지 못한다.
사람이 사랑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사람이 빠질 사랑의 웅덩이가 대체 어디 있단 말인가!)사랑이 사람 속으로 들어온다. 사랑이 들어와 사는 것이다. 숙주가 기생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생체가 숙주를 선택하는 이치이다. 물론 기생체의 선택을 유도하는, 기생체의 마음에 들만한 숙주의 조건과 환경에 대해 언급할 수는 있다. 그렇더라도 그 선택이 숙주의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숙주는 자기 몸 안으로 기생체가 들어올 때는 물론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순간까지 어떤 주체적인 역할도 하지 않거나 못한다. 숙주는 기생체가 욕망하구 주문하는 것을 욕망하고 주문한다. 자기 욕망이고 자기 주문인 것처럼 욕망하고 주문한다. 그것 말고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전에는 하지 않거나 할거라고 상상할 수 없었던 말과 행동을 사랑의 숙주가 된 다음에 하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세상에 떠도는 말대로, 사랑하면 용감해지거나 너그러워지거나 치사해진다. 유치해지거나 우울해지거나 의젓해진다. 어떤 식으로든 어떤 변화인가가 생긴다. 몸 안에 사랑이 살기 시작한 이상 아무변화도 생기지 않는 경우는 없다. 그 사람은 사랑하지 않는 다른 사람과 다를 뿐 아니라 사랑하기 전의 자기와도 같지 않다. 같을 수 없다. 사랑이 들어와 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첫 세대 기독교인들은 자기들이 할 수 없는 일, 그들이 할 거라고 기대할 수 없는 일들을 했다. 병자를 고치고 통역 없이 모든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하고 죽은 사람을 살리고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기들이 믿는 위험한 진리를 증거하고 기꺼이 잡혀가고 고난당하고 목숨을 내놓았다. 그들은 다른 사람과 다르게 살았고 이전의 자기들과도 다르게 살았다. 사도행전은 그 이유가 그 들안에 성령이 살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바울은, 내 안에 사는 것은 내가 아니고 그리스도라고 고백한다. 다른 존재가 우리의 내부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 우리는 그 존재를 따라 살지 않을 수 없다. 내 안에 사는 것은 내가 아니라고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어느 순간 사랑은 문득 당신 속으로 들어오고, 그러면 당신은 도리없이 사랑을 품은 자가 된다. 사랑과 함께 사랑을 따라 사는 자가 된다. 사랑이 시키고 원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된다. 그러니까 사랑에 빠졌다는 식으로 말하지 말라.
당신이 사랑할 만한 사람인가, 아닌가, 사랑해도 되는 사람인가 아닌가는, 사랑의 초기에 반드시 찾아오는 피할 수 없는 질문이지만, 연연해 할 일은 아니다. 숙주로서의 조건이 있기는 하지만, 그 조건을 자격으로 간주하는 것은 착각이다. 그 조건이 기생체를 불렸다고 단정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믿음은 없다 어떤 경우에도 숙주가 기생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사랑할 만한 자격을 갖춰서가 아니라 사랑이 당신 속으로 들어올 때 당신은 불가피하게 사랑하는 사람이 된다. 자격을 갖추고 있어서 사랑이 당신 속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 당신 속으로 들어와서 당신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사랑이 들어오기 전에는 누구나 사랑할 자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사랑했거나 사랑하고 있는 어떤 사람도 사랑할 만한 자격을 가지고 있어서 사랑했거나 사랑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은총이나 구원이 그런 것처럼 사랑은 자격의 문제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