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가 불평등하다는페미니스트들의 비판과 달리 여성을 모욕하는 일에서는 남녀가평등해 모두에게 책임이 있었다. 여성도 둘째가라면 서러웠다.
진화론이라는 것이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점점 똑똑해졌다고 장담하지 않았던가? 적자생존을 통해서 살아남은 이들이 이렇게 폭력적이면서도 우둔하다고?
어째서 세상은 ‘화나다‘, ‘차분하다‘로만 사람을 판단하고 나누는 걸까. 인류의 감정이 그렇게 단순하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다. 어떤 일이 벌어졌을 때 화를 내는 사람은 차분하지 않고, 차분한사람은 반드시 옳다. 심지어 정의롭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세상의 절반을 차지하는 인류는 알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여성이 늘 이것저것 걱정하는 걸 싫어한다. 그러나 걱정이 많다는건 얼마나 좋은 일인가. 걱정하는 것에만 불과하다는 게 얼마나좋은 일인지 그들은 알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아주 짧은 시간 안에 눈앞에 있는 남자가 어떤 생각을하고 어떤 생각을 하지 않을지 반드시 알아내야 했고, 이들이 할일과 하지 않을 일을 고려해야 했다. 어쩌면 그 모든 일이 순간의선택으로 결정되는 일에 불과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건우리의 안전도 마찬가지였다. 너무 많은 걸 고려하면 사람들에게비웃음을 살 수 있지만, 대신 그날만큼은 안전하게 살 수 있었다. 아니, 물론 그들 모두가 그렇다는 건 아니었다. 그들 중 대다수는 아주 좋은 사람들이니까. 여성을 강간하지도, 성희롱하지도 않았다. 그건 나도 알았다. 문제는 그들 중 누가 그러하고 누가 그러하지 않은지를 알 수 없다는 거였다. 어제 그러지 않았다고 해서 오늘도 그러지 않을지도 알 수 없었다.
그녀는 가장 큰 억압이 평등권 추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경쟁 게임에서벗어나지 못하는 데 있다는 걸 깨달았다. 각각의 세부 항목마다별 다섯 개짜리 호평을 얻으려고 어쩔 수 없이 애를 쓰다니. 그리고 가장 우스운 건 이거였다.
"아니지. 성적인 농담을 한다거나 사업적으로 성공했다거나 성격이 단호하다는 건 내 개인적인 특징이잖아. 이런 게 대장부랑무슨 상관이야. 그럼 성적인 농담을 안 하는 좋은 남자들이 너무억울해하지 않겠어?"
인생이라는 게 있잖아, 사실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지껄이든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저들은 성희롱도 못 본 척하는 놈들이거든. 아줌마 욕도 대놓고는못해서 멀리서 속삭이는 놈들이라고. 저딴 놈들의 생각 같은 건신경 쓸 필요도 없어.
자기 아이를 픽업해 오라고 하거나 생활용품을 사 오라고 하거나 전처의 전화를 대신 받으라고 하는 대머리 배불뚝이 전 상사에게 사실은 온화함과 인내심, 인정이라는 또 다른 면모가 있었다면? 그러한 면모들을 정말로 알고 싶을까?
"아, 주인공 배우라는 그 딸이구나? 어쩜 이렇게 예쁠까. 엄마따라 시장에도 왔네. 자상하기도 해라. 친정에 자주 와서 엄마랑시간도 보내 주고 그래." (아, 며느리구나. 요즘 통 얼굴을 못 봤네. 며느리가 집안일을 좀 더도와야지. 시어머니 연세도 생각해야 하지 않겠어. 젊다고 너무 자기놀 생각만 하면 안 된다고.)
저는 제가 타이완 여성에게서 보았던 보이지 않는 족쇄‘들을『여신 뷔페』에 담아내고 싶었습니다. 엄청난 죄악처럼 보이는 족쇄는 아니지요. 가끔은 달콤한 설탕물이 입혀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족쇄들을 정확히 짚어 낼 수 있어야만 다음에 비슷한 상황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더는 가부장제의 공범이 되지 않겠다고자기 자신을 일깨울 수 있습니다. 비슷한 상황을 마주했는데도 이를 잊게 되었다면, 혹은 아직은그렇게 할 수 없는 거라면, 그래도 괜찮습니다. 어쨌든 인류 사회에 수천 년이나 심어진 독소인걸요. 포기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다음에 안 되면 그다음에 하면 되는걸요. 우리 계속 함께 노력해요.
2025년 6월 류즈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