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엘리트의 만국 유람기 동아시아 근대와 여행 총서 2
나혜석 외 지음, 성현경 엮음 / 현실문화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들은 해상 생활을 모두 아침 먹고, 운동하고, 음악 듣고, 춤추고,영화 보고, 또 밥 먹고, 자는 것으로 지내는 모양이지만, 나는 선실 문을 닫아걸고 밤낮으로 어학 공부에 진땀을 뺐다. 영어야 청년 시절에한성 외국어학교에서 ‘내셔널‘ 다섯 권 정도를 배웠고, 그 뒤에도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에 갈 생각을 품고 2년 동안이나 서울 모 영국인 밑에서 개인교수를 받았다. 또 도쿄 메이지 대학 다닐 때에는, 법률 외에어학에도 은근히 힘을 써서 그때만 해도 영자 신문쯤은 거리낌 없이 보았지만, 그동안 손을 놓은 지 하도 오래되어서 이제는 영어로 밥 먹으라는 말도 외우지 못할 지경이다. 이래서야 어떻게 코 큰 서양 사람 행세를 할까 싶다.

우리가 탄 미국 샌프란시스코행 배는 무슨 대통령의 이름을 따온 3만여 톤짜리 배이었다. 묘령의 백인 여자들이 어떻게나 많이 탔는지, 식당이나 갑판 위의 운동장이나 무용실에 들어가 보면 남성 출입 금지가 아닌가 하고 생각하리만치 꽃같이 어여쁜 여자들이 가득 차서 재깔거리고있는 것이 실로 장관이었다.

이제는 샌프란시스코 시가를 소개할 차례에 이르렀다. 그러나 나는 이것을 피하려 한다. 여러분이 상상하시던 모양으로 20층, 30층의석조, 벽돌, 철근 콘크리트 등 웅장한 건축물이 하늘과 해를 가리고 또어디까지 갔는지 모를 만큼 기막히게 늘어섰으니, 이를 ‘가옥의 대림지대‘라고나 설명할까, 그 외에 다른 해설의 말을 나는 못 찾겠다. 또각국 인종이 거리마다 웍작웍작 따라가다가는 웍작웍작 따라오며, 자동차가 까만 개미떼같이 늘어선 것과 바다와 육지에서 울리는 쇠망치소리, 기적 소리 등 동원령이 내려진 전쟁 지대가 아니면 상상도 못 하리만치 복잡다단한 모습을 솜씨 서툰 내 붓끝으로 그려낼 재주가 없는것을 잘 아는 까닭이다.

최근 뉴욕 콘서트계는 많은 음악가, 무용가들로 상당히 성대해졌습니다. 파리, 런던, 뉴욕의 콘서트계는 서로 교류하고 있었으나 이번전쟁 때문에 파리, 런던이 중단 상태에 있는 이상, 오직 뉴욕이 유일한콘서트 예술 중심의 국제 시장이 될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뉴욕 콘서트계의 이러한 성대함은 미국이 가진 콘서트의 숨겨진 재주가 성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유럽과 해외 예술가들이 뉴욕을 일시적으로 빌려 쓰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다시 말해 해외 콘서트계의출장소로서 성대한 것입니다. 어쨌든 예술적 전통이 아직 어리고 그 위에 정신적인 것보다 물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데에만 분주했던 미국이요. 재즈 음악과 탭 댄스가 범람하는 장소인 까닭에 콘서트 예술을 길러내기에 필요한 관객층은 어느 특수층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감상력이 무척 저급합니다. 비평가까지도 오로지 관객층을 맹신하는 폐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외로부터 우수한 예술가를 데려오더라도 그것을 비판적으로 섭취하며 거기서 미국 자신의 것을 생산시킬 힘은지 않은가 하고 생각합니다.

사월 초파일이 되면 개성에서는 초파일 놀이라 해서 남녀노소가 송악산에 올라 화전을 부쳐 먹으며 놀지 않습니까. 또 오월 단옷날이면 평양에서 단오놀이를 굉장하게 하지 않습니까. 또 팔월 보름날 함흥 감영(오늘날의 도청)에서 추석놀이를 만세교 난간이 내려앉게 잘 놀지않습니까. 파리기념일이라는 것은 이 개성의 초파일과 평양의 단오놀이, 함흥의 추석놀이를 한데 뭉친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