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몇장은 그저 미래의 AI에 대한 이야기 인 줄 알았는데 읽다 보니 자유사 , 계급, 젠더, 노후문제 등에 대해 퍼져 나가는 이야기가 무척이나 흥미롭다. 게다가 읽으면서 ‘도대체 뭘 말하고 싶은 건가?’라고 불평하기 보다는 이 한권의 소설안에 이렇게 많은 주제를 단단하게 담아 낸 작가의 필력에 (또한 번역의 힘에) 놀라게 되었다.
이 중 가장 집중적으로 생각해 본 것은 ‘자유사’이다. 평소에도 죽음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인간은 모두 한가지 방법으로 태어나지만 모두가 다른 방법으로 죽게 되니 나는 그 중 어떤 방법으로 죽게 될지가 궁금하다. 죽음 보다 그에 이르는 과정이 너무나도 두렵기 때문이다. 스스로 충분하다 느낄 때 죽음을 선택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그충분한 것이 행복의 충분이면 다행이지만 고통의 충분이면 괴롭지 않겠나? 이 책에서 그 충분함에 대한 다양한 층위가 생길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것이 사회적, 경제적 계급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게 된다는 것이 너무나도 현실적이라 속상할 뿐이다.

덧붙임 1: 이 책의 양윤옥번역가님의 번역이 무척이나 좋았는데 유독 한자어가 많아 의문이 생겼다. 이는 원작의 표현을 그대로 한 것인지 아니면 번역가님의 의견인지 궁금해진다. (아시는 분 답변 좀…..)

덧붙임2 : 책 안에 소크라테스의 PTSD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는 실재하는 소설의 줄거리인지, 아니면 그냥 작가가 만든 에피소드인지 이것도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덧붙임 3 : 312페이지의 ‘어머니의 인격구성 비율은 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주인 격이다‘라는 문장에서 ‘주인 격’은 ‘주 인격’으로 바꿔어 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번역이 문제라기 보다는 띄여쓰기 점검이 잘못된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해요. 도움이 되느냐 마느냐, 돈이있느냐 없느냐로 인간의 목숨을 선별해서는 안 되죠. 온전히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유사‘를 원하더라도 그 이유를 찬찬히 따져보면 어딘가에 반드시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을거예요. 그걸 어떻게든 제거해줄 방법을 고민해야죠."
"그렇게 한사람 한사람의 인생이 모두 다 아름다울 수는 없어.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조금이라도 생활이 나아지면 아, 다행이다,하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짓을 거듭하는 사이에 인생이 지나가 버리는 게 대부분이지. 해결할 수 없는 수많은 문제를 떠안은 채로 살아가는 거야. 이피는 이 세계를 바꿔나갈 능력이 있지만, 우리는 그럴 힘이 없어. 그건 알아줬으면 좋겠어."

"나는 진짜 힘들 때는 언제든 삶을 멈출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심이 돼. 알아, 이피? 그런 감각 속에서 살아가는 거? 그럴 때 자살같은 겁나는 방법을 쓰지 않아도 조용히 끝낼 수 있다는 건 정말로마음이 놓이지. 아니, 지금 당장 죽고 싶다든가 하는 얘기는 아니야. 나도 죽고 싶진 않아. 무서우니까. 이 우주에서 오직 단 한 번 태어난 목숨인데. 하지만 진심으로 내가 그렇게 결정했을 때는 어느 누구도 부정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내 의지를 부정할 자격이있는 사람도 없지만."

"진심으로 만족해서 ‘이제 충분하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깊은 절망감 때문에 ‘이제 충분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괴로워하는 사람이라면 옆에서 격려하면서 ‘아직 충분하지않다‘고 용기를 북돋아야 할까요? 아니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오히려 ‘마음먹기‘에 따라 다르다고 위로해야 할까요?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했건 단순히 만족할 수 있는 뭔가를 찾아내버리면 현실은 영원히 바뀌지 않겠지요. 그건 이 세계를 자기들 편리한 대로 주물럭거리는 자들에게는 안성맞춤의 핑계거리가 됩니다. 불행한 사람은 언제까지고 불행하고 가난뱅이는 언제까지고 가난뱅이라니요! 하지만 본인들이 불행하는 가난하든, 마음이평온해지는 방법을 찾아버리면 사회적으로는 아무런 파풍도 일어나지 않겠지요. 그래서는 너무도 희망이 없지 않을까요? 저는정말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