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원더보이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빠가 이 지구상에서 인간으로 존재했던시간은 고작 42년.
그나마 나의 아빠로 존재했던 기간은 14년
그건
해도 해도,
너무한 일이에요.

해도 해도.
달도 달도.
별도 별도.
아빠가 살았던 42년은 너무나 짧은 시간이죠. 별들의 숫자에 비하면 그건 없는 것이나마찬가지예요. 하지만 상상해보세요. 그 빛들을 나눠서 쪼일 수 있었다면 아빠는 평생 매초당 7조5499억5047만2325개의 별빛을 받으면서 살았던 것이에요. 그렇다면 그건 정말 대단한 1초였을 거예요. 그렇게 대단한 1초라는걸 알았더라면 아빠는 울지도 않았을 텐데요.
소주를 마시지도 않았을 거고, 약병을 들고죽겠다고 아들에게 소리치지도 않았을 테죠.
아빠 인생의 1초가 그렇게 많은 빛으로 가득했다는 걸 알았더라면 말이죠.
하지만 우주의 모든 별들이 움직임을 멈추고 우리를 향해 일제히 빛을 내뿜는 순간은단 한 번뿐이에요.
태어나서 단 한 번.
우리가 죽을 때.
그렇게.
우리는 아이로 태어나 빛으로 죽는 것이죠.
영원히 빛으로 죽는 것이죠.
그렇다면 그건 정말 멋진 일일 거예요.

그렇지 않나요,아빠?

"우리는 모두 한 번은 처음 만나고 또 한 번은 영영 헤어지는 것이니까. 네가 자꾸 아빠생각을 하면 아빠는 네 곁을 영영 떠나지 못하실 거야."

그 고통이 절정에 이를 때, 그들은 자신이 아직 죽지 않았다는 사실을, 그리고 어떤 고통도 자신을 완전히 죽일수는 없다는 사실을 차례로 발견했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저마다 절대로 지울 수 없는삶의 순간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불행하게도, 혹은 다행스럽게도 그들은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에 가장 행복했던 기억들을 떠올렸다.

우주가 무한에 가깝다면, 일어날가능성이 있는 일은 반드시 일어난다.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지 않은 일들이 다른 우주에서는 반드시 일어난다.

"순리대로 사는 게 바로 이 우주의 비밀이지. 잠이 오지 않는다면, 안 자면 되는 거야.
꼭 자야 할 필요는 없어. 죽은 사람이 자꾸 눈에 보인다면, 그냥 눈을 감으면 되고. 보고 싶을 때는 눈만 뜨면 언제든지 볼 수 있으니까좋은 거 아닌가?"
"그게 치료법인가요? 지금 제 불면증도 그렇게 고치신다는 얘기인가요?"
"치료법은 아니야. 병이라고 꼭 치료해야만하는 건 아니야. 병을 달고 산다는 말도 있잖아. 병도 생명의 일부야."
"그래서 강토 형은 아저씨를 만난 뒤로 병을 달고 살게 됐다는 말씀인가요?"
"아니."
무공 아저씨가 말했다.
"강토는 병을 껴안고 살더라."
강토 형과 내가 서로를 끌어당길 정도로 닮았다면, 그렇다면 나도 이제 병을 껴안고 살아야만 한다는 뜻일까?

무공 아저씨의 말처럼산은 더욱 산이 되고자 하고 물은 더욱 물이 되고자 하는 것 같았다. 그렇다면 이 인생에서 내가 할 일은? 그건 더욱 내가 되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