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말해 이 책에 수록된 사람들의 증언은 완전히 자발적이며 적극적인 것이다. 문장 표현상의 기교도 없을뿐만 아니라 유도도 없고 도발도 없다. 나의 문장력은(만일 그런 게 조금이라도 있다면 말이지만) ‘증언자들의 말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면서 그와 동시에 얼마나 읽기 쉽게 쓰는가‘라는 단 한 가지에 집중되었다.

직업적인 작가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나는 ‘종합적이고 개념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딱히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한 사람 한 사람의 구체적인-교환 불가능한-존재양태에 대해서만 흥미를느낀다. 그 때문에 나는 증언자를 앞에 두고 한정된 두시간 동안 집중하여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깊고 구체적으로 이해하려 노력했고, 그것을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을 만들려고했다. 증언자의 사정으로 활자화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긴했지만.

두려움도 있고 마음의 상처도 물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게 어디 있는지 보여달라고 한다면 보여줄 방법이없습니다. 목숨을 잃은 분, 순직하신 분의 유족들에게 저로서는 어떤 설명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도망치고 싶지 않습니다.

부모님은 이 인터뷰를 받아들이는 걸 반대하시더군요.
이제 겨우 잊어버리려 하는데 다시 기억을 더듬으면 좋지 않다고 말이죠. 그러나 이 기회를 하나의 경계선으로삼아보자고 생각했어요. 언제까지 이러고 있을 수는 없으니까요.

어쨌든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것 같습니다. 인간은 반드시 한 번은 죽어요. 죽으면 모든 게 끝이지요. 죽어버리면 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더욱 자신에게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옴진리교 사람들은 과연 책임이란 것을 생각이나 하고 있을까요? 그들이 과연 피해자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조금이라도 자신들이 저지른 죄악을 깨닫기 바랍니다.
정말로 간절히 바랍니다. 그들에게 사회적인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합니다. 그런 후 갱생의 길을 걷게 하든지해야 합니다. 결코 죽어버리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저지른 잘못은 스스로 바로 세워야 합니다. 저는그렇게 생각합니다. 이것이 기본입니다.

·1995년 3월 20일 아침에, 도쿄의 지하에서 정말로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
그것이 바로 내가 품은 의문이었다. 아주 간단한 의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때 지하철 안에 있던 사람들은 거기서 무엇을 보고, 어떤 행동을 하고, 무엇을 느끼고, 생각했는가?‘라는 것이다. 나는 그것을 알고 싶었다.

당신은 누군가(무언가)에게 자아의 일정한 부분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서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있지 않는가? 우리는 어떤 제도=시스템에 인격의 일부를 맡기고있지는 않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제도는 언젠가 당신을향해 어떤 ‘광기‘를 요구하지 않을까? 당신의 ‘자율적 파워 프로세스‘는 올바른 내적 합의점에 도달해 있는가?
당신이 지금 갖고 있는 이야기는 정말로 당신의 이야기일까? 당신이 꾸고 있는 꿈은 정말로 당신 자신의 꿈일까? 그것은 언제 어떤 악몽으로 변해버릴지 모르는 누군가의 꿈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