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당분교 올림픽>을 리뷰해주세요
몽당분교 올림픽 맛있는 책읽기 4
김형진 지음 / 책먹는아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가까이 사는 곳에 공단이 있어서 그런지 외국인노동자들을 자주본다. 말도 통하지 않는 먼 이국땅에 와서 힘들게 일하는 그들을 볼때면 나또한 편견은 없는지 한번더 생각해보게 된다. 이 책은 이런 나를 비롯한 이땅의 모든 한국인들에게, 특히나 생각이 막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전하는 이야기이다.  

책의 배경은 강원도 두메산골 몽당분교이다. 몽당분교는 한국어린이, 북한어린이, 필리핀어린이, 태국어린이, 나이지리아 어린이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어린이 등 전교생이 7명뿐인 학교이다. 강원도 설악산 자락, 몽당분교에 모인 이 아이들은 필리핀인 엄마와 한국인 아빠를 둔 호세피노, 엄마, 아빠가 둘다 나이지리아인인 영애(배우 이영애의 열렬한 팬인 부모님이 지어줬다) 한국인 엄마와 태국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난(코시안) 솜차이,우즈베키스탄인인 부모님을 둔 에르킨, 부모님의 이혼으로 서울에서 전학온  예슬이, 북한에서 탈출해 엄마와 누나랑은 헤어지고 아버지랑 단 둘이 사는 만덕이..2살때 버려져 절에서 자란 동자승 철수이다. 세상이 많이 바뀌곤 있다지만 아직까지는 편견이 많을진데 이 몽당분교 어린이들은 너무나도 해맑다. 베트남전에 참전해했던 김상사아저씨만 빼면 말이다.  

한국으로 시집온 베트남인 호야는 집이 너무나도 가난해서 집을 살리고자 이 먼곳 한국으로 시집을 왔다. 같이 시집와서 합동결혼식까지 했던 친구 투이는 남편의 폭력을 못이기고 끝내 도망가고 만다. 신문에서 심심찮게 들어봤던 이 이야기는 한국인임을 정말 부끄럽게 만든다.  못사는 나라에서 왔다고 그렇게 못살게 굴고 학대하는 것일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만약 서양에서 온 며느리를 봤다면 그들이 그랬을까 그런 생각마져도 든다.   

각각 저마다의 사연으로 가득한 이 마을에서 가을 운동회가 열린다. 이 가을 운동회를 동네 사람들은 '올림픽'이라고 부른다. 올림픽 정신에 따라서 가을 하늘아래 아이들이 신나게 운동회를 하지만 ,북한에서 왔다고 사람을 깔본 김상사아저씨와 만덕이 아버지와의 불화로 엉망이 되고만다. 한글을 모르는 호야가 학교에 오게 되면서 아이들은 엄마처럼, 누나처럼 호야를 따르고 좋아하게된다. 이렇게 한가롭게 지내는 사이.. 몽당분교는 폐교하라는 지시를 받게된다. 아이들은 베드민턴부를 설치해서 금메달을 따기로 결심하고 열심히 연습하지만 ...전용구장을 박살낸 김상사 아저씨를 경찰에 신고한 죄로 엉뚱하게 불법체류하고 있던 영애네 가족만 강제추방 당하게 된다. 끝내 폐교를 막지 못한채 마지막 올림픽이 열린다. 몽당분교 폐교를 앞두고 열리는 마지막 가을 운동회라 졸업생들을 비롯해 마을 사람들이 다 모인다. 행복한 올림픽을 맞이하는 몽당분교 사람들이 누가뭐래도 진정 금메달감이다..

얼굴색은 다 다르지만 몽당리라는 작은 마을에서 한 가족처럼 의지하고 지내는 이 이야기를 읽으며 생각의 틀을 바꾸는데 아이들이 많은 도움이 될거라 믿는다. 그리고 편견을 벗어남으로써 함께하는 더 큰 행복을 누릴수 있음을 깨닫게 해주어 고맙다^^ 마지막에 몽당분교를 살리겠다던 최박사가 정말 희망찬 소식을 가져왔을 거라고 믿는다. 믿는자에게 복이 있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