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07 시스템이 나를 대신하면 행복한가?
<호모데우스> 마지막 3부는 '호모 사피엔스 지배력을 잃다'라는 소제목대로 과학기술 발전의 이기와 암울을 이야기한다. 대다수 인간은 결국 시스템에 지배 당하고 살까? 나는 지금 지배 당하고 사는 걸까? 부분적으로는 그렇다.
이세돌 9단이 프로 바둑을 왜 그만두었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했던 대답이 생각난다.
"제가 아는 바둑의 세계는 아름다웠습니다. 그 세계에는 인생이 담겨 있었죠. 인공지능을 상대하는 바둑에는 그런 것이 없었습니다. 그러자 바둑이 더 이상 재미가 없더군요."
시스템이 나를 대신해 많은 결정을 내려준다면 과연 만족스러울까? 무수한 시행착오 끝에 맛보게 되는 달콤함이 있다. 그것이 쾌감 아닌가. 재미 아닌가.
하라리가 어떤 결말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구글과 페이스북, 그밖의 다른 알고리즘들이 모든 것을 아는 신탁이 되면, 그다음에는 대리인으로 진화하고 마침내 주권으로 진화할 것이다. - P467
머지않아, 당신이 책을 읽는 동안 책도 당신을 읽을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읽은 내용의 대부분을 금세 잊을 테지만, 아마존은 하나도 잊지 않을 것이다. - P471
21세기의 신기술들은 이렇게 인본주의 혁명을 뒤집어, 인간에게서 권한을 박탈하고 비인간 알고리즘들의 권한을 강화할 것이다. - P472
시스템은 당신보다 당신을 더 잘 알 것이고 그러므로 중요한 결정의 대부분을 당신 대신 내릴 것이다. 더욱이 당신은 그것에 완벽하게 만족할 것이다. - P474
과학의 발견과 기술 발전이 인류를 쓸모없는 대중과 소규모 엘리트 집단의 업그레이드된 초인간들로 나눈다면, 혹은 모든 권한이 인간에게서 초지능을 지닌 알고리즘으로 넘어간다면 자유주의는 붕괴할 것이다. 이때 어떤 새로운 종교 또는 이념이 이 공백을 메우고, 신과 같은 우리 후손들의 후속 진화를 이끌까? - P4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