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달을 만들었는가
크리스토퍼 나이트 외 지음, 채은진 옮김 / 말글빛냄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달을 만들다니..." 처음에는 이해가 가지 않았다. 달은 이미 오래전부터 자연발생적으로 생긴적이 아니던가. 아주 아주 먼 옛날부터 우리가 사는 지구를 둘러싸고 태양과 달과 그리고 수많은 행성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는데 새삼 이제와서 "누가 달을 만들었냐니" 납득이 가지 않았다. 어릴때부터 알고 있는 달의 정체는 그저 일반적인것뿐. 예를들면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이고,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며, 1969년에 닐암스트롱이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뎠다는 정도.

  초등학교시절 자연시간인가에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숙제가 있어 매일밤 얕은산에 올라 하늘을 올려다보며 달의 모습과 이동을 관찰한것이 전부였다. 그 어린시절이후로 달에대해서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았었다. 초승달이건, 상현달이건, 보름달이건, 하현달이건, 그믐달이건 그런건 학교다닐때 시험보기위해 배운기억밖에 없었으니 말이다. 살아가는데 달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지...

   하지만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를 읽으며 달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누가 만들었느냐 이전에 달이 왜 지구에게 꼭 필요한 존재인지에 대해서 확실히 알게 되었다. 오래전에 배웠웠는지 어땠는지는 기억이 없지만 달의 존재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된것은 이책을 읽으면서 얻게된 큰 수확이었다.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를 읽으면서 과학의 정의를 다시 되짚어보게 되었다. 또한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를 읽으면서 우리가 살아있는 지구와 지구를 둘러쌓고 있는 태양계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리하게 되었다. 게다가 작가는 과학적 증명을 위해 숫자로 설명을 하였다. 아무래도 숫자는 좀더 정확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달은 태양보다 400배 적고, 태양보다 지구에 400배 가깝다든가 하는것과 달과 태양과 지구의 관계를 수(數)로서 설명하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스스로 빠져들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자연의 신비에, 수의 매력에.. 

 본론으로 들어가서 저자는 달의 탄생에 대해 3가지 가능성으로 설명하였다.  

  첫번째가 "신(神)에의한 창조"이다. 종교마다 각각의 신들이 말하는 의미는 차이는 있지만 그 내용은 '신은 하늘과 땅과 바다와 인간을 만들었다'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가 "외계 생명체에 의한 창조"이다. 크롭서클이라든가 UFO라든가 하는 아직도 불가사의한 일들은 이를 뒷바침하고 있는데, 저자는 달이 이들 외계 - 예를 들면 화성이라든지 - 생명체에 의해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고 말하면서 이는 그들이 찾는 해답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저자들이 말하는 달의 창조설은 바로 세번째 "미래의 인간에 의한 창조"이다. 작가들은 참으로 기발한 발상으로 달의 탄생을 설명한다. 4차원과 블랙홀, 그리고 타임머신을 예로 들어 알기쉽게 풀이해준다. 바로 미래의 후손이 과거로 돌아가 달을 만들었다는 다소 엉뚱하고 기발한 이론을 펼친다. 아마도 영화 "터미네이터"를 연상하면 쉬울 것이다. 미래에 태어날 아이가 과거로 흘러가 자기를 낳게될 어머니를 구한다는 영화속의 내용과도 흡사하다. 하지만 지금은 그들의 이론이 당연히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너무 황당한 가설이고 공상속에서나 나옴직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모르는 일이다. 머지않은 미래에 정말로 그와같은 일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이 어디있는냔 말이다.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를 읽고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면 이렇다.

 "우리의 인류는 이미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한 시나리오로 잘 짜여진 영화와 같다. 지금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영화의 일부분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이되어 살아가고 있는 중이다. 물론 이 영화에는 영화를 만든 감독도 등장한다. 그 영화를 만든 감독은 언제든지 뒤로 돌아가 영화를 부분 수정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그영화는 수정된 데로 계속 상영되는 것이다. 단지 그영화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를뿐이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돌고 도는 것이다." 

  미래의 생명체가 우리에게 달의 진실에 관한 메시지를 보낸다. 단지 우리와의 시차로 인해 언제 어디에서 만날지는 알 수 없다. 단지 우리는 그들을 만나러 가고 있을 뿐이다.  먼훗날 누군가에 의해 만나게 될 미래의 그 누구를 위해서도 이책은 훌륭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 책을 읽다가 두군데의 오류를 발견했다.

p. 60 -  달의 반지름 1,738,100Km Km가 아닌 m 여야지 맞는다. (달의 반지름 1,738Km ≒ 1,738,100m)

p. 291 - 중간 이탤릭체로 된부분....은 수정되어야한다. 아래를 보면 이탤릭체로 된곳은 없다. 이탤릭체를 고딕체또는 아래의 문장을 이탤릭체로 수정해야한다. 아마도 원문은 이탤릭체로 된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