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숨에 책을 읽어 내려갔다. 단 한번에 ... 그만큼 책의 흡입력이 뛰어난 수작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신인작가의 작품이라니 더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  책을 덮고나서 영화를 보고 싶다는 욕망이 생겼다. 하지만 일단 유보 하기로 했다.  책만큼 영화는 짜임새가 훌륭하지 않다고 한다.  책에서 받은 그 무엇을 영화로 인해 감소 시키고 싶지 않았다. 

  살인제도에 대한 현명한 해결책은 과연 무엇일까?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아야 하나?  죄를 지었으니 똑같이 사형으로 죄값을 치르게 하여야 하나? 마치 탈리오의 법칙처럼....아마도 우리가 이사회를 살아가면서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과제일것이다. 솔직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살인자에 대해서는 영원히 격리를 시켜야 한다는데 동의한다.  하지만 전제조건으로 그 죄가 분명히 그(그녀)가 저지른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때로는 자신이 저지르지도 않은 죄를 타인의 협박이나 조사의 오류로 누명을 쓰게 된다면 과연 그 당사자의 마음은 어떠할까?

  13계단을 읽으면서 그 치밀하고 짜임새 있는 구성이 마음에 들었다. 긴박하게 이어지는 장면전환이 좋았고, 등장인물의 갈등과 서서히 밝혀지는 사건의 전말이 마치 퍼즐을 풀어나가듯이 짜여져 있어 좋았던것 같다. 결말부분에서는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했지만 그래도 읽는내내 빨리 결말을 보고 싶어 읽는 속도를 올리곤 했다.

  책을 읽는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던 것은 바로 형장에 대한 묘사장면이었다. '밧줄', '눈가리개', '세개의 단추' 그리고 '밑으로 떨어지는 발판'. 어디선가 본듯한 사형장의 묘사장면에 머리가 쭈뼛섰다. 내 어린시절 서대문 101번지는 서대문형무소가 있던자리였다. 지금이야 서대문자연사박물관으로 바뀌어져 독립공원과 함께 역사의 장소로 탈바꿈했지만 그당시에는 높은 담과, 철조망으로 빙 둘러쳐진 지나다니기도 오싹한 형무소였다. 때로는 높은담과 철조망 사이를 간수와 푸른옷의 죄수들이 리어커를 밀며 지나가는 모습을 보곤했었다.  그때는 어찌나도 섬찍하던지 아직도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그들 사이에 정말로 누명으로 인해 감옥생활을 했던 사람은 없었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내용이 약간 옆으로 샌건 같은데, 지금 그 자연사박물관에 가보면 사형장이 고스란히 보존되어있다.  예전에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최민수가 사형장의 이슬이 되었던 바로 그장소.  바로 그 사형장이 '13계단'에서 묘사하는 사형장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물론 서대문형무소를 건축한 사람들이 일본인들 이었으니 당연하겠지만.. 음산한 공기가 감도는 사형장은 형무소의 구석에 위치해 있다. 빛조차도 들어가지 않는 외딴곳에 말이다. 그곳에는 밧줄도, 스위치도, 발판도 있다. 바로 '지하가교식' 사형장이 그대로 남아있다. 일본인이 만든 사형장 모습 그대로...그곳 사형장의 입구보다 출구가 작다고 한다. 한사람이 더 들어갈 정도로만, 그이유는 들어갈때는 사형수와 간수가 함께 들어가지만 나올때는 간수들만 나오기 때문이란다.

  아마도 죄를 짓기전에 그곳 사형장을 둘러본다면 절대로 남을 해하는 잘못을 저지르지는 않을것이다. 사형장이 주는 공포때문에...

  13계단이 신인작가의 작품이며, 심사위원 전원이 반대의견없이 에도가와 란포상으로 결정한것만 보더라도 13계단 작품의 우수성을 엿볼 수 있을것 같다. 오랫만에 좋은작품을 본것같아 마음이 흡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