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조곡
온다 리쿠 지음, 김경인 옮김 / 북스토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온다리쿠의 다작을 나는 좋아한다. 보통 작가들은 잊을만하면 책이 출간되는데 반해 온다리쿠는 읽을만하면 책이 나오는 타입의 작가이다. 그만큼 왕성하게 활동을 하는 작가이면서도 일본내 문학을 이끌어가는 작가의 한명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의 작품세계는 참으로 설명하기가 힘들다. 무엇보다 그녀는 연작을 좋아한다. 이책의 주인공이 또 다른 작품에 등장하고, 또 어떤 책은 다른 책의 예고편으로 맛보기 형태의 양식을 보여주는가 하면 또 어떤 책은 이전의 책과는 사뭇 다른 장르를 보여주고 있다. 도대체 그녀의 한계는 어디일까 하는 생각을 뗄레야 뗄수가 없다. 

'목요조곡' 제목보다는 작가의 이름만으로 선택한 책이다. 그만큼 온다리쿠는 나에게 있어 영향력있는 작가라는 말인터, 역시 그녀의 작품을 읽다보면 그녀만의 세계를 들어다 볼 수 있어 어찌보면 식상한 듯 하면서도 어떻게 끝날까 하는 궁금함에 정신없이 읽히는 장점이 있다. 이 책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는 그저 5명의 여자들이 모여 수다를 떨며 맛난 음식이나 먹으며 세상사는 이야기나 풀어내는 일반적인 이야기가 아닐까 - 물론 이 책에 대한 시놉을 읽기 전까지는 - 혼자 지레짐작 했었는데 좀 읽다보니 이거 영 방향이 미스테리에 심리극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던가. 중반이후에는 도대체 누구야, 누구때문에 죽은거야라는 의문은 결국 마지막에 가서 명쾌히 해결되는데, 읽는내내 궁금함에 빨리 결론을 보고 싶게 만든 작품이었다.

미스테리 성격도 있으면서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주도면밀하게 풀어낸점은 역시 온다리쿠의 트레이드마크가 아닐까 한다. 한 작가의 죽음을 둘러쌓고 매년 기일에 모인 4명-한명은 그 집에 기거-이 모여 벌어지는 이야기 보따리는 듣다보면 자연스레 빠져드는 매력이 있었다. 도대체 누가 작가를 죽음으로 인도했을까라는 주제를 각 등장인물이 하나씩 관련지어 드러나는 사실에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하는 공감대가 형성이 되었다.

책을 읽다보면 작가들의 세계도 엿볼 수가 있었는데, 예를 들면 문학계에서 크게 성공한 작가는 더 좋은 작품을 만들어야겠다는 강박관념에 빠져 오히려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없게 되고, 치고 올라오는 후배 작가에 쫒겨 더욱 갈길이 바빠지는 양상에 자신을 지켜보고 기대하는 주변의 시선이 오히려 부담이 되는 모습이라던지, 자신의 우상으로 인해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지 못하는 모습, 타인의 작품을 마치 자신의 작품인양 표절하는 장면등은 현재의 문학계가 안은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 듯 해서 현실감이 더해졌다. 마지막에 엉뚱하게 펼쳐진 결말은 그렇게 나쁘지많은 않았다. 오랫만에 온다리쿠의 작품을 읽고나니 아직 읽지못한 그의 다른 작품에 손이 절로 감은 어쩔 수 없이 나도 그녀의 작품을 좋하하는 독자구나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